닫기

[대권주자 릴레이 인터뷰] 안철수 “‘反李 연대’ 큰틀에서 韓 대행과 단일화 가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8010016119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승인 : 2025. 04. 27. 17:58

안철수 의원(국민의힘)
대통령 권한 축소하고 4년 중임제 추진
초·중·고부터 AI 등 미래기술교육 강화
규제혁신으로 한국형 창업 생태계 조성
의료시스템 선진화 위한 정책도 강조
[포토] 안철수 후보 '국민께 드리는 호소문 발표'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께 드리는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병화 기자
"과학기술, 경제, 의료 부문에서 전문성을 쌓고, 도덕적으로 한 치도 부끄럼 없는 인생을 살아왔다. 밤새워 일하고, 세계를 향해 뛰어 국민통합과 시대교체를 이뤄 대한민국을 초일류 국가로 만들겠다."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2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과거를 다루고 선악을 나누는 법조인 출신이 아닌 미래를 다루는 과학자·경제인 출신"이라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이길 수 있는 중도 확장력, 수도권 경쟁력 면에서도 다른 후보에 우위다"라고 자신의 강점을 내세웠다. 안 후보는 의사, 안철수연구소 CEO, 대학 교수 출신 현역 정치인으로서 자신의 전문분야를 내세워 중도층을 공략하며 대선 행보를 이어왔다. 다음은 안 후보와의 일문일답.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이번 조기대선에 출마할 경우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인가.

"반(反)이재명 연대라는 큰 틀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한 대행을 예외로 두지 않는 것뿐이다. 국민께서 한 대행에게 기대하는 것은 마지막까지 안정적으로 국정을 책임지는 모습이다. 한 대행의 출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출마와 다르지 않다고 본다. 전 정부의 하나밖에 없는 총리. 다를 바 없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계속 보여 온 후보로서 '반탄(탄핵반대)' 지지자들의 표심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가.

"탄핵 반대한 국민들도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은 같다고 본다. 아울러 민주당의 입법폭주에 대한 반대, 그리고 '이재명 독재'를 거부하는 국민들의 마음은 저와 다르지 않다. 헌법재판소에서 윤 전 대통령이 중대한 헌법위반을 이유로 파면당했다. 그렇다면 우리 당은 헌법을 위반한 윤 전 대통령과는 거리를 두어야 하고, 집권여당으로서 사과하는 것이 맞다. 그것이 옳은 길이고, 더 많은 국민들의 지지를 얻는 길이라고 본다."

-대통령제 임기를 단축하고 오는 2026년 지방선거에서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자는 개헌에 구체적인 이유가 있는가.

"87년 체제는 수명을 다했다. 대통령 권한은 너무 크고, 국회 권한은 무책임하다. 대통령 권한을 축소하고 4년 중임제로 바꿔 중간평가를 받게 할 것이다. 또 국민 주권과 지방정부 권한은 강화하고 국회의 입법 독주를 견제하는 헌법적 장치를 마련할 것이다. 이제까지 개헌이 실패한 이유는 대통령이 임기 초에는 개헌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대통령부터 개헌을 시대적 과제로 놓고, 완성시키려면 임기를 단축하고 희생하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다른 후보들과 비교해서 이 부분은 자신이 차별되거나 압도적이라는 부분이 있는가.

"저는 의사, 기업인, IT(정보기술)전문가, 교수 등 풍부한 현장경험을 거쳤기에 창업을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만들고, 또 의료대란과 같은 현장의 문제를 푸는 것은 제가 더 잘할 수 있다."

-중도층을 제외한 모든 국민과 정치 무관심층은 어떻게 공략해 표심을 얻을 것인가.

"정치에 환멸을 느끼는 국민께는 '변화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대한민국의 청사진을 제시하겠다. 청렴함, 유능함, 미래 비전을 통해 마음을 얻을 것이다. 정치혐오를 넘어서는 유일한 길은 국민을 위해 진짜 일하는 정치, 실력 있는 정치를 직접 보이는 것이다."

-대선 공약에서 AI(인공지능)를 강조하고 2035년까지 AI 세계 3강에 진입한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시킬 것인가.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 지속적으로 기초과학연구를 지원하고, 초·중·고부터 AI, 반도체, 로봇 등 미래기술 기반 교육을 강화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기초 체력을 키울 것이다. 또 초격차기술에 대한 대규모 국가 투자와 전략적 육성체계를 만들고, 민간 R&D 투자에 대해 세제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하겠다. 규제혁신과 공정경쟁시스템 마련으로 한국형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입지적 요건에 맞는 지역별 특화 산업을 육성해 지방 균형발전까지 도모할 것이다. 제 전문분야인 AI산업 육성, 의료대란 해결에 자신 있다.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처럼 '신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AI고속도로'로 대한민국을 AI강국으로 만들 것이다. 의사출신으로서 의료계와 지속적으로 대화해 왔다. 대통령이 되면 '여야의정협의체'를 만들어 의대정원 증원의 합의를 이끌고, 의료계가 원하는 전공의 처우개선, 의료진 법적 책임 완화, 건강보험 수가개선과 의료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필수·지방의료 강화, 의사과학자 양성 등의 정책을 함께 추진할 것이다"

-국민적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

"부정선거 주장은 명확한 증거가 없고, 민주주의의 근간인 선거제도를 흔드는 위험한 주장이다. 자칫 국민적 공감을 얻기 힘들다고 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선거관리 부실, 취업비리 등은 철저히 바로잡아야 한다. IT기반의 투명한 선거시스템을 마련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
이체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