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견제 도모
|
현재 이사회 의장은 현대차는 정의선 회장·기아는 송호성 대표이사·현대모비스는 이규석 대표이사가 맡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금융권과 달리 선임사외이사가 의무는 아니지만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27일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달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하고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각각 심달훈(전 중부지방국세청장)·조화순(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김화진(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들을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밖에 사외이사진·경영진·주주 간 원활한 소통을 이끈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지난달 사별 이사회에서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다. 3사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전환했으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가 사외이사로 구성됐다.
한편 3사는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이사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주주들로부터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받아 선임하는 주주추천 사외이사 선임 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사회 산하 위원회의 위원장은 모두 사외이사로 임명해 위원회 독립성과 의사결정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사 선임 시에는 성별·인종·국적 등 다양성을 고려하며 글로벌 비즈니스·법무·미래기술 등의 역량을 보유한 인재를 통해 이사회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더불어 사외이사회 신설·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