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행정부 "하버드 태도는 유수 대학에 만연한 '특권 의식' 드러낸 것"
|
WSJ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이날 "정부의 요구는 권한을 넘어선 것이며, 대학의 자율성과 헌법상 권리를 침해한다"고 반발했고, 이후 불과 몇 시간 만에 미국 정부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 지원 중단을 전격 결정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90억 달러에 이르는 연방 보조금 지급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학교 측에 통보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대학은 결코 자율성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헌법적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의 태도는 우리나라 유수 대학들에 만연한 '특권 의식'을 드러낸다"며 "연방 자금은 민권법 준수와 책임을 수반한다"고 비판했다.
미 당국에서 '지속적인 재정 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가지 조처 실행'을 하버드대에 요구했다고 WSJ은 전했다.
요구 사항은 대부분 대학 운영과 관련된 것으로, 마스크 착용 전면 금지, 대학 이사회 및 입시 정책 개편,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폐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버드대 측은 "우리는 지난 15개월 동안 캠퍼스를 보다 포용적인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정책적·구조적 변화를 지속해서 추진해 왔다"며 행정부의 요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수정헌법 1조에 반하고, 절차적 정당성을 무시한 것"이라며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