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기부, 스미싱 차단 서비스 ‘X-레이’ 시범 운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8010004549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4. 08. 13:25

KISA 자체 개발…발송단계서 스미싱 탐지
화면 캡처 2025-04-08 132308
악성문자 차단 서비스 'X-레이' 개념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스미싱 문자를 발송단계에서 차단하는 서비스를 선보이며 디지털 민생 안전을 보장한다.

과기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개발한 'X-레이' 서비스를 9일 시범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스미싱 문자를 발송단계에서 탐지해 발송 자체를 원천 차단한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악성문자를 수신해 겪을 수 있는 불편과 재산적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는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수신했을 경우,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 등을 통해 KISA에 신고하면 신속하게 악성 여부를 판단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받거나 사기 사이트를 접속하지 않도록 안내 후 발신번호와 인터넷주소(URL)를 차단하는 등의 대응체계를 운영해왔다.

그러나 이미 대량으로 악성문자가 발송돼 이를 수신한 모든 국민들이 신고, 판단, 조치 등 일련의 대응절차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나타났다. 또 일부 국민들이 실수로 악성문자를 클릭,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재산적 피해를 보게되는 사례가 발생해 효과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에 KISA가 '스미싱 확인서비스' 운영을 통해 얻은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X-레이 서비스를 개발, 문자판매사 에스엠티엔티에서 이를 우선적으로 도입·적용하게 됐다.

최우혁 과기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악성문자 X-레이 서비스 시범 운영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는 좋은 선례를 만드는 것"이라며 "국민들이 스미싱 등 악성문자로 인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악성문자 차단 서비스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디지털 민생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