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설] 국힘, 尹 자산 끌어안아야 정권 재창출 한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7010004121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04. 08. 00:01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사무처당직자 조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
국민의힘이 7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사흘 만에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해 대선 체제로 전환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경선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해당 행위에 대해 엄격하고 가혹하게 처리하겠다"고 경고했다. 당이 해당 행위를 경고한 것은 윤 전 대통령 파면을 둘러싼 내부 갈등의 확산에 따른 악영향을 미리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에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안철수 의원,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최경환 전 부총리, 이정현 전 의원 등 10여 명이 후보군에 올라있다. 지지율이 가장 높은 김 장관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상태다. 홍 시장과 한 전 대표는 여의도에 사무실까지 얻었다. 후보군이 많아 경선을 흥행으로 이끌 수 있지만 반대로 분열과 갈등이 커질 우려를 낳는 것도 사실이다. 경선 관리를 잘해야 한다는 의미다.

국민의힘이 특히 경계해야 할 것은 내부 갈등이다. 7일 당장 탄핵 찬성파인 김상욱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을 출당시켜야 한다고 했고, 조태경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 대선 필패라고 주장했다. 김웅 전 의원은 후보를 내지 말라고 했다. 이에 탄핵 반대파 윤상현 의원은 "절연보다 무서운 것은 분열"이라며 "윤 전 대통령의 자산(2030 등 지지층)과 (계엄 사태 등의) 부채를 짊어지고 대선에 임해야 한다"고 반격했다. 당 지도부가 통합된 마음을 강조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이 윤 전 대통령과 '쌍끌이 전략'을 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윤 전 대통령이 비록 파면돼 선거에 직접 나설 수 없지만 지지 세력인 2030과 국민변호인단, 탄핵 기간에 '윤석열'을 외쳤던 열혈 지지층을 안고 가는 '어게인 윤(Again Yoon)' 정신이 필요하다. 후보 경선이 시작되면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는 후보도 있을 텐데 함께하는 '윈윈전략'이 정권 재창출을 돕고, 한·미 동맹 간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데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6월 3일의 대선은 이미 시작됐다. 국민의힘은 지지층 결집을 통해 세를 불리면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도 잘 설정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실질적인 싸움이 된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후보를 내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럴 수는 없다. 이번 대선은 단순히 여야 간의 싸움이 아니고,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절체절명의 대결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하나가 되고, 윤 전 대통령의 자산까지도 끌어안을 때 한미동맹을 굳건히 하면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는 정권을 재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