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관리로 불필요한 지출 줄여야"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연구는 외래 진료를 통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 가운데 고혈압과 폐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0일로 31.1일 감소했다.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로 감소했다.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크게 감소했으나,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건보공단은 고혈압, 폐렴 환자의 입원 기간 차이가 나는 원인 중에서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도 분석했다. 폐렴은 2010년 21.0%에서 2019년 9.6%로 감소했으나 고혈압은 2010년 25.7%에서 2019년 31.3%로 증가했다.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의원)로 구분했을 경우, 2019년 기준 입원 기간의 의료기관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 폐렴은 각각 6.5%, 26.0%로 나타났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고혈압, 폐렴 모두 종합병원급 이상에 비해 병원급 이하에서는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더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 "건강보험 재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입원율이 가장 높아 적절한 관리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