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2000원, 4월 신규 이용자 2시간 무료 이벤트
|
서울시는 20일 저출생 극복을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일환으로 시행 중인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시간제 어린이집은 육아 부담을 경감해 저출생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다. 이 서비스는 양육자들이 병원 진료, 집안일, 개인 시간 확보 등의 필요가 있을 때 미취학 아동을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어 육아의 유연성을 높인다.
기존 어린이집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서 주중·낮 시간대에 시간 단위로 월 60시간 한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취학 전 모든 보육 연령대(6개월~7세 이하)의 아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핟. 전일제 보육기관은 일정기간 출석해야 보육료를 지원받을 수 있지만 시간제 보육은 개인의 일정에 맞추어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시범운영 결과 95%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육아 부담 경감 효과를 입증했다. 시는 4월부터 기존 8개소에 9개소를 추가해 17개소로 확대하고, 연내 25개 전 자치구별 1개소씩 배치할 계획이다.
4월부터 신규로 운영하는 9개소는 △중구 신당동어린이집 △용산구 효창어린이집 △강북구 꿈나무어린이집 △노원구 향기어린이집 △서대문구 마미어린이집 △양천구 홍익어린이집 △강서구 구립숲속나라어린이집 △구로구 새날어린이집 △동작구 구립고은어린이집이다.
시는 육아휴직 중인 가정양육자의 피로도를 덜어주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방학이나 폐원, 전원에 따른 맞벌이 가정의 단기간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일부터 '서울시보육포털'에서 예약이 가능하며, 시간당 2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4월 한 달간은 첫 이용 가정에 2시간 무료 이용 이벤트를 진행해 새로운 육아 지원 서비스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김선순 여성가족실장은 "육아는 부모 혼자 감당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사회가 함께 지원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을 통해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 저출생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