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은 창업 후 3년 초과 7년 이내 기업(도약기 창업기업)이 매출 부진과 자금 부족으로 겪는 위기 상황(데스밸리)을 극복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총 373개사 창업기업을 선발하며 제품 개발과 시제품 제작, 판로개척 등에 필요한 사업화 자금과 함께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 도약기 창업기업의 스케일업에 필요한 맞춤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올해 창업도약패키지는 일반형, 대기업 협업형, 투자병행형의 3가지 유형 중 필요자금 규모와 사업화 방식에 따라 1개를 선택해서 지원할 수 있다. 먼저 일반형에 선정된 기업들은 시제품 제작, 지재권 취득, 사업모델(BM) 개선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자금 최대 2억원과 각 주관기관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일반형 유형 중 예산범위 내에서 추가로 성공환원형을 신청할 수 있는데 성공환원형에 선정될 경우 기본 지원 사업비의 최대 50%(최대 1억원)를 추가 지원받아 최대 3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대기업 협업형은 KT, LG전자 등 대기업 9개사와 협업을 희망하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의 전문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해 창업기업의 제품개발과 사업화,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그 외 사업화자금(최대 2억원·평균 1.3억원 내외)도 지원받을 수 있다. 투자병행형 선정기업은 사업화자금(최대 2억원·평균 1.5억원)을 지원받고 추가로 한국벤처투자(KVIC)에서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방식)으로 매칭 투자(최대 2억원)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올해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을 소개하기 위해 다양한 현장 사업설명회가 마련돼 있다. 27일에는 대기업 9개사가 '대기업협업형' 관련 협업분야, 지원내용 등을 소개하는 설명회와 현장상담을 진행한다. 또 각 주관기관에서도 25일부터 3월 7일까지 유형별 2025년 프로그램 등을 소개하는 현장 사업설명회를 진행한다.
신청·접수는 케이(K) 스타트업 누리집에서 3월 13일까지 가능하며 신청·접수 이후에는 서류·발표평가를 통해 지원 대상을 최종 선정한다. 자세한 사항은 케이 스타트업 누리집 내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