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회의...3국 협력 기조 유지 청신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6010007875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2. 16. 03:50

조태열 외교·루비오 국무·다케시 외무, 독일 뮌헨서 첫 회의
외무성 "회의, 미국 주도...트럼프 행정부, 동맹 중시 기조 유지"
외교부 "3국 협력 지속 발전 의지"
트럼프 행정부 관세 논의 회피한듯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조태열 외교부 장관(왼쪽부터)·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이 1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가진 외교장관 회의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외교부 제공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한국·미국·일본 외교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역내 및 인도·태평양 지역 문제에 대해 3국 간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미국 국무부가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은 이날 뮌헨안보회의 참석을 계기로 뮌헨에서 지난달 20일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약 45분간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3국 협력 기조 유지 청신호
일 외무성 "회의, 미국 주도...트럼프 행정부, 동맹 중시 기조 유지"

이번 회담은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때 강화된 한·미·일 협력 노선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외무성 고위관리는 "이번 외교장관 회의는 미국이 주도했다"며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에도) 동맹국 중시 기조가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닛케이는 "이번 회담이 외교장관 간 인식을 조율해 정상급 소통의 기회를 이어가는 것"이라며 지난 7일 백악관에서 진행된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도 3국 간 틀의 중요성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닛케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으로 한·미·일로 대표되는 다자간 협력보다 양국 간 '딜(거래)'을 중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 일본 정부 내에서는 3국 협력이 지속될 수 있을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그리고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2023년 8월 워싱턴 D.C. 인근 미국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별도의 첫 3국 정상회의를 열고, 이 회의를 매년 정례화하기로 합의했고, 2024년 11월엔 연락 사무국 설치를 결정한 바 있다.

한미일 외교
조태열 외교부 장관(오른쪽부터)·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이 1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외교장관 회의를 갖고 있다./외교부 제공
◇ 외교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 3국 협력 지속 발전 의지"

이와 관련, 외교부는 "미국 신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개최된 이번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는 3국 협력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자는 3국 공동의 의지를 확인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협의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외교부는 "3국 장관들이 한·미·일 협력이 3국은 물론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전·안보·번영에 기여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이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했다"며 "특히 한·미·일 협력이 외교·안보뿐만 아니라, 경제안보·첨단기술 분야로 확대 심화하고 있다고 하고, 각급 협의와 사무국의 원활한 운영을 통해 협력의 제도화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외교부는 "3국 장관들이 한·미·일 협력의 지평이 경제 안보와 인공지능(AI)·양자·반도체 등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을 평가하고, 이를 더욱 확장해 나가기 위해 각급에서의 소통을 활발히 이어가기로 했다"며 "장관들은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3국 공조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은 "3국 외교장관이 흔들리지 않는 3국 파트너십을 재확인했다"며 "그들이 3국 및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전·안보·번영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조했으며 위협에 대응하고, 경제 회복력을 강화하며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3국 장관들이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분야에서 3국 간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에 앞서 만난 한·미 외교장관은 "조선·반도체, 특히 미국산 LNG 수출 확대를 통한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환영했다"고 국무부가 밝혔다.

LNG 수출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과의 협상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핵심 사안 중 하나다. 지난 7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회담한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는 LNG 수입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고, 미·일은 미국 알래스카주에 송유관을 건설해 수출하기 위해 양국 기업이 합작 투자를 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한 바 있다.

아와 함께 외교부는 "3국 장관들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3국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를 위해 3국 장관들은 강력한 대북 압박과 함께 북한의 제재 위반·회피 활동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도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모든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모든 핵무기, 기존 핵 프로그램 및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CVID)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북한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 트럼프 행정부 관세 논의 회피한 듯

다만 3국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에 관해선 집중적으로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공동성명은 "3국 장관이 경제적 강압 및 불공정 무역 관행에 단호히 대응해 자유롭고 공정한 글로벌 경제 질서에 기여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했다"며 "장관들은 각국의 성실한 국민과 기업들에게 혜택을 주는 경제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앞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에게 미래 번영을 위해 그동안 한국의 대미 투자가 유지·확대되기 위한 긍정적 환경 유지와 미국 측의 협력을 당부하고,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적용 문제에 관해 한·미 간 긴밀한 협의에 따른 해결 의지를 강조하면서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고 당부한 데 대해, 루비오 장관은 관계 부처 간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와 관련, 국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두 장관이 핵심·신흥 기술에 대한 긴밀한 공조와 공동 사업 구상 등 트럼프 대통령의 어젠다에 따라 경제 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성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