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 최대 해상풍력…풀어야 할 과제는 ‘가동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3010007261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2. 13. 16:40

가동률 30%, 기대와 현실의 괴리
송전망 인프라 부족…법적 기반 시급
미래 재생에너지 해답은 해상풍력
2025020401000288400017011
제주에 있취한 한국남동발전 탐라해상풍력 전경./한국남동발전
전북 부안군과 고창군 앞바다에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가 들어선다. 사업비 6조원, 발전 용량 1.4GW(기가와트)로 원전 1기와 맞먹는 수준이다. 정부는 이 프로젝트가 탄소 중립을 향한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 기대하지만, 가동률 30%의 벽을 넘지 못한다면 '국내 최대'라는 타이틀도 무색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에너지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해상풍력 단지는 여전히 낮은 가동률로 인해 현재로선 실질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자리 잡기 어려운 상태라고 평가한다.

산업부 등에 따르면 현재 제주와 전남 영광의 해상풍력 단지의 평균 가동률은 약 30%에 머물러 있다. 이는 기상 조건과 불안정한 풍속 때문으로, 풍속이 3m/s 이하로 떨어지면 발전이 멈추거나 출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여기에 송전 인프라 부족도 주요 걸림돌이다. 해상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안정적으로 송전하기 위한 기반이 미흡한 상황이다. 한국전력이 송전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지만, 이 과정에는 수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한계와 인프라 부족이라는 이중의 문제 속에서 이 단지가 과연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된다.

기술적 문제 외에도 지역 주민 수용성은 또 다른 도전 과제다. 해상풍력 단지 건설 과정에서 어업권 침해와 경관 훼손 우려로 주민 반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제주와 전남의 해상풍력 사업에서도 비슷한 문제로 사업이 지연된 사례가 있다. 주민들과의 갈등이 커질 경우 사업 추진이 늦어질 수 있는 만큼, 지역과의 소통과 상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개선과 사회적 수용성 확보가 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요소라고 입을 모은다. 고효율 터빈 개발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이 선결 과제이며, 송전 인프라 확충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강천구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해상풍력이 아직 완전히 가동되기엔 부족한 면이 있지만, 미래 재생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며 "한국은 3면이 바다인 지리적 특성상 해상풍력이 필수적인 선택지"라고 말했다.

다만 강 교수는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송전망 관련 법적 기반 마련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그는 "적은 양이든 많은 양이든 전기를 생산해 사용하려면 반드시 송전망이 필요한데, 현재 그 부분이 미흡한 상황"이라며 "송전망 구축 관련 법안이 빠르게 법제화돼야 해상풍력 사업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