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지방에서 분양한 대단지 아파트의 전체 청약 경쟁률은 11.64대 1로 집계됐다. 1000가구 미만 단지의 청약경쟁률(3.24대 1)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통상 대단지는 많은 가구 수를 기반으로 관리비 절감 및 인프라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부동산 시장에서 '스테디셀러'로 평가받는다는 점이 배경으로 꼽힌다.
이로 인한 차이는 매매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작년 12월 기준 지방 아파트 규모별 3.3㎡당 매매가는 △300가구 미만 773만원 △300~499가구 951만원 △500~699가구 1064만원 △700~999가구 1120만원 △1000~1499가구 1210만원 △1500가구 이상 1308만원이었다. 가구 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분양권 거래에서도 웃돈이 붙고 있다. 부산 '대연 디아이엘'(4488가구) 규모의 '대연 디아이엘' 아파트 전용면적 84㎡A형 분양권은 지난달 21일 8억3504만원(5층)에 거래됐다. 당초 분양가 보다 5857만원 높은 가격이다.
대전 '둔산자이아이파크'(1974가구) 전용 84㎡A형 분양권 역시 7억2406만원(18층)에 거래되며 약 4606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시장 침체로 인해 수요자들이 조경·커뮤니티시설·특화설계 등을 갖춘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면서 대단지 아파트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이들 단지가 향후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높아 기대감도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