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우린 소득·일자리 수호자”…佛 극우 RN의 변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623010012496

글자크기

닫기

최효극 기자

승인 : 2024. 06. 23. 14:14

프랑스 조기총선 1차투표 일주일 앞
RN '고물가' 초점 맞춰 지지층 확장
극우당 우세지역이 범죄율도 낮아
마크롱은'부자들의 대통령'외면당해
FRANCE-ELECTION/FARRIGHT-LEPEN
마린 르펜 프랑스 극우정당 국민연합(RN)의 지도자와 RN의 총선 출마자가 지난 14일(현지시간) 프랑스 북부의 시장에서 시민들에게 전단지를 나눠주고 있다. / 로이터 연합뉴스
프랑스 총선 1차 투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극우정당 국민연합(RN)은 고물가와 생활수준 하락에 초점을 맞춰 지지층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9일 EU의회 투표에서 마린 르펜의 RN은 프랑스 3만5000개 코뮌(최소 행정단위)중 93%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2일(현지시간) 자체 분석결과를 보도했다. 이는 전체 의회 선거구의 80%에 해당한다.

로이터 분석에 따르면 RN의 득표율은 유권자의 수입·교육수준·통근거리·이전 선거 기권율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르펜은 유럽통합에 반대하는 민족주의 정당 이미지를 탈색하는데 주력해 왔고, RN을 가계 소득·일자리·프랑스 정체성의 수호자로 변신시켰다. EU투표에서 RN은 마크롱의 르네상스당을 2배 앞섰다. RN은 지지 기반인 지중해 연안과 북부 러스트 벨트(사양화된 공업지대) 너머로 세력을 확장해 일부 지역에서는 르네상스당을 7대 1로 앞지르기도 했다.
RN은 농촌에서 세력을 확장했지만 대도시와 교외지역은 마크롱의 연합정당과 좌파 정당에 꾸준히 표를 몰아줘 표의 도·농 분할이 두드러졌다.

로이터 분석 결과 RN의 EU선거 돌풍은 2022년 총선 기권율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RN이 승리한 지역은 지난 총선 평균 기권율이 46%에 달한 반면, 마크롱 연합정당이 이긴 곳은 기권율이 평균 39%였다.

지난 2022년 대선 때부터 르펜은 호전적인 반 이민 정책에서 방향을 틀어 "당신 주머니에 돈을 꽂아주겠다"는 새로운 메시지를 던졌다. 르펜당은 전통적으로 저임금·저학력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지만 주류의 관심인 '고물가·생활수준 하락'으로 초점을 이동하면서 지지기반을 대폭 확장하는 데 성공했다.

르펜의 후계자로 차기 프랑스 수상이 유력한 28세 조던 바르델라도 유권자들에게 RN의 최대 관심은 가계소득이라고 강조했다. RN은 전기료, 난방유의 부가세를 삭감하겠다고 공약했다. RN은 실업률은 높고 기대수명은 짧은 지역에서 EU 선거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또 RN은 인구 10만 명 이하이고 주민 교육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평균 38~39%의 지지를 받아 전국 평균 지지율 31%를 크게 웃돌았다. 마크롱은 친(親)기업·친부자 정책으로 '부자들의 대통령'이란 별명을 얻었다. 2018년엔 연료세 인상에 반대하는 '노란 조끼' 시위가 반 마크롱 시위로 확산해 곤욕을 치렀다.

RN은 또 법과 질서 수호에 강경한 입장인데 RN을 지지하는 지역은 범죄율도 낮았다. 평균 무장 강도 발생횟수는 마크롱 연합정당을 가장 지지하는 곳이 RN을 가장 지지하는 곳보다 3배나 많았다.

RN 지지 지역은 주택소유 비율이 높고 통근거리가 길었다. 이 때문에 지난 2년간 연료비 인상에 따른 피해가 컸던 곳이기도 하다. 평균 통근거리는 RN 지지 지역이 마크롱당 지지 지역에 비해 2배가 길다고 로이터는 추산했다.

한편 지난 20일 여론조사 기관 IFOP가 공개한 설문 결과 프랑스인의 34%가 오는 30일 1차 투표에서 RN이 이끄는 우파 연합을 찍을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는 2022년 총선 1차 투표에서 RN의 득표율(18.7%)보다 15%포인트 더 높다. RN의 뒤를 이어 좌파 정당 연합인 신민중전선(NFP) 지지율은 29%로 나왔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집권 여당과 연대 세력인 앙상블의 지지율은 22%로 3위에 머물렀다.
최효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