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공시가 8%↓…이명희 자택 10%↓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214010007119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2. 12. 14. 13:40

2016060201000258900011011
서울 명동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제공=네이처리퍼블릭
경기 침체로 인한 부동산 시장이 얼어 붙은 가운데 전국에서 가장 비싼 토지와 주택도 급락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서울 중구 충무로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내년 ㎡당 공시지가는 1억7410만원으로 올해 공시가인 1억8900만원에 비해 8%에 육박한 1490만원 떨어졌다.

이에 따라 해당 부지 전체의 내년 공시지가는 294억7500만원으로 300억원 아래로 내려간다. 공시가 하락에도 2004년부터 20년 연속 국내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기록됐다.

2위 명동 우리은행 부지(392.4㎡)의 내년 공시지가는 ㎡당 1억7270만원으로 올해 1억8750만원에 비해 7.9% 떨어진 금액을 보였으며 3위 충무로 옛 유니클로 부지(300.1㎡) 공시지가도 1억7850만원에서 1억6530만원으로 7.4% 내렸다.

4위 충무로 토니모리(71㎡) 부지 공시지가는 1억 7000만원에서 1억5640만원으로 8.0% 떨어졌으며 5~10위를 기록한 충무로·명동·강남 땅값 모두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표준 단독주택에서는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280억3000만원으로 8년 연속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올해 311억원에 비해 10%에 육박할 정도로 급락했다.

2위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연면적 2617.4㎡)은 182억원을 기록했는데 올해 대비 무려 11.6% 떨어진 금액이다.

3위 용산구 이태원동 삼성그룹의 영빈관인 승지원(연면적 609.6㎡)은 168억원으로 올해보다 9.0% 떨어졌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