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업계에 따르면 법원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을 기각하면서 이 부회장이 다시 공격적인 투자로 경영 보폭을 넓히는 동시에 준법경영을 강조하며 노동계 및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넓힐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구속되면 ‘총수 부재’로 각종 사업·투자 등 경영이 사실상 멈출 것이라는 우려가 높았다.
실제로 2017년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태로 구속됐던 1년여(2017년 2월~2018년 2월) 동안 삼성은 리더십 공백으로 대규모 투자나 M&A 등이 없었다. 2016년 11월 미국 전장업체 하만을 80억 달러에 인수한 이후 M&A는 전무했고, 투자도 미미했다.
2018년 2월 이 부회장이 항소심으로 풀려나 경영에 복귀한 이후에야 ‘4대 미래 신산업’에 180조원 투자 발표와 지난해 4월 시스템반도체 분야 글로벌 1위를 목표로 선포한 ‘반도체 비전 2030’에 133조원 투자 발표가 있었다.
대규모 투자와 M&A는 총수의 결단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회장이 구속된 1년여 동안은 경영 시계제로였던 셈이다. 재계에서도 이 부분을 우려하고 있다.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데 오너의 부재로 자칫 그 시기를 놓쳐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도 삼성은 평택캠퍼스 파운드리 생산라인 증설과 최첨단 낸드플래시 생산라인 증설 등 18조원로 추정되는 반도체 투자 계획이 이어졌다.
국정농단 관련 뇌물 혐의 파기환송심과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코로나19와 미중 무역갈등 격화 등 글로벌 위기 속에서 경영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됐다.
삼성은 또 이 부회장이 구속 위기에 처하게 된 배경에는 과거 준법 의무를 소홀히 해 온 측면도 있다고 보고 준법경영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삼성은 올 초 준법 의무를 감시하는 준법감시위원회를 설치한 후 준법경영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부회장도 지난달 6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의 권고로 마련한 기자회견에서 준법경영을 기조로 한 ‘뉴삼성’을 다짐했다.
노조문제, 시민사회 소통, 경영권 승계와 관련해 불법과 편법이 없도록 하고 “준법이 삼성의 문화로 확고하게 뿌리내리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이후 달라진 삼성은 곳곳에서 포착됐다. 부당해고에 항의해 350여일 동안 철탑 고공농성을 벌인 김용희씨와 지난달 사과와 보상에 합의했고, 사장단들도 최근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초청해 건전한 노사문제에 관련한 강의를 듣는 달라지려 노력하고 있다.
지난 4일에는 삼성 7개 계열사가 이 부회장의 뜻을 반영해 준법경영 실천 방안을 준법 감시위에 제출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이재용 부회장 체제에 들어서서 반도체 백혈병 문제, 삼성전자서비스 직접고용, 무노조 경영 탈피 등 오랜 난제에 대해 전향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면서 “구속영장 기각을 계기로 사회적 책임 행보를 강화하며 ‘뉴삼성’ 비전을 점차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