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웨이트 국영 매체 쿠나(KUNA)는 5일(현지시간) “아랍권에서 모닝 커피를 마시면서 종이신문을 읽는 주말 아침 풍경이 사라지고 있다”며 현지 일간지 알카바스·알라이·알안바·알자리다 등이 종이신문 발행을 주 7일에서 6일로 줄이기로 했다고 전했다. 평일을 포함해 한 주 모두 발행하던 신문을 일요일 하루는 내지 않기로 한 것이다.
알카바스의 왈리드 알니스프 편집국장은 “비용 절감이라는 경제적 이유로 내린 결정”이라며 “종이신문은 이제 디지털 플랫폼과의 경쟁에 희망을 걸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지면광고 수입 감소세로 종이신문 발행에 드는 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는 2032년 종이신문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미국 보고서를 인용, “우리 회사 인터넷판(디지털 플랫폼)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면서 “온라인에서 더 많은 독자를 끌어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랍권 정치·사회·문화 연구기관인 알자지라 연구센터에 따르면 중동 지역 인터넷 이용자는 2007년 2900만명에서 2015년 1억4000만명으로 폭증했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 독자수가 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동 지역 인터넷 보급률은 64.5%로 세계 평균 54.5%보다 높다고 시장조사기관 인터넷월드스탯츠가 발표했다. 인터넷 보급률은 주기적으로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성인 비율을 말한다. 쿠웨이트의 인터넷 보급률은 97.8%. 아랍에미리트가 98.4%로 가장 높고, 바레인(98.0%)·카타르(98.1%) 순이다.
일각에서는 종이신문의 종말을 논하기엔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알자리다의 나세르 알오타이비 편집국장은 “종이신문 발행의 영구 중단을 막기 위해 중대한 조치를 하고 있다”면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종이신문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 더 많은 분석·기획·인터뷰 등의 콘텐츠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인 다이드 왈리드 알호란은 “종이신문을 읽는 것은 노인들에겐 매일하는 의식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고, 또 다른 언론인 하난 알자이드 역시 “최소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종이를 넘기는 느낌과 소리를 그리워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신문 종말은 사회적 문제를 촉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