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김 수사관이 개인 비위를 덮기 위해 만든 가짜뉴스를 야당이 정치공세로 악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맞서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청와대가 민간인을 조직적으로 사찰했다면서 조 수석의 사퇴를 촉구했다.
오전 10시부터 운영위를 진행한 여야는 오후 10시인 현재까지 고성을 주고받으면서 신경전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홍영표 위원장은 야당이 편파진행이라고 거칠게 항의하자 “제가 무슨 허수아비, 꼭두각시냐”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박경미 민주당 의원은 “스폰서 수사관 김태우도 김태우지만 그의 일방적인 주장에 제1야당이 부화뇌동하며 한 해 마지막 날을 보내서 씁쓸하다”고 했다.
같은 당 김종민 의원도 “국정농단 세력이 세상 바뀌었는지 모르고 하던 대로 하다가 쫓겨 난 것”이라며 “국정농단 바이러스 원조인 한국당이 비호하고 호위무사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반면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청와대는 실세 비리를 묵인하고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는데도 몰라라 한다”면서 “정권 초기 정의와 도덕성을 앞세웠는데 위선과 일탈에 양두구육(羊頭狗肉) 정권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강효상 의원은 “김 수사관이 미꾸라지면 청와대는 미꾸라지 연못이며 조 수석은 미꾸라지 장사를 한 것”이라며 “미꾸라지 장사꾼이 지금 실컷 혜택을 받아놓고 이제 미꾸라지 탓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한국당은 정부의 KT&G 사장 교체 의혹과 환경부 블랙리스트 의혹을 부각하며 대여공세에 화력을 쏟아 부었다.
이에 대해 임 실장은 “기획재정부의 문건 내용 일부가 제보돼 폭로됐다”며 “문건을 보면 ‘정부의 사장 선임 과정 개입은 불가능하다’ ‘정부 지분을 통해 사장 추천위원회의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응 방안이라고 나온다”고 반박했다.
조 수석도 “환경부 리스트를 만든 자체가 범죄가 아니므로 기수, 미수라는 비유는 애초에 틀렸다”며 “리스트를 만드는 것은 직무 안에 있고 합법적인 활동이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