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퍼 대사대리는 이날 보수야당 의원 모임인 ‘포용과 도전’ 주도로 열린 국회 조찬 세미나에 참석해 “지금 한국만큼 더 많이 주목을 받는 사안은 없다”며 이같이 언급했다고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밝혔다.
나 의원은 “내퍼 대사대리는 ‘코리아 패싱은 없다’, ‘한미동맹은 튼튼하다’고 강조했다”며 “하지만 (우리가 말하는) 코리아 패싱의 의미는 핵 동결을 전제로 한 주한미군 철수 우려라는 점에서 대응 지점이 서로 달랐다”고 주장했다.
참석 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한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술핵 공유, 원자력협정 개정 등과 관련한 의견을 전했다. 하지만 내퍼 대사대리는 이들 주제에 대해선 원론적 수준의 답변만 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퍼 대사 대리는 세미나 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당·바른정당 의원들과 함께 솔직한 의견을 주고받을 기회였다”며 “우리의(미국과 한국의) 흔들리지 않는 굳은 동맹에 대해서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참석 의원들은 지난달 2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통화를 하지 못한 배경에 대해서도 질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의원은 ‘미국 측이 정상 간 통화를 요구했는데 오히려 우리 정부가 거절했다’는 취지의 질문을 했고, 내퍼 대사대리는 “양 정상이 바쁘다”며 즉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는 ‘코리아 패싱’ 우려와 관련해 “한미 간에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으며 ‘코리아 패싱’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미국 등 국제사회도 여러 고민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도 지금 한반도의 직접 당사자로서 할 수 있는 부분들, 국제사회와 협력해서 할 수 있는 부분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역시 ‘코리아 패싱’ 논란이 확산되는 데 대해 “비판은 좋지만 정말 신중하고 중요한 외교적 사안에 대해 꼬투리를 잡는 듯한 접근은 자중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외교와 관련한 부분은 여당이든 야당이든 신중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번 허버트 맥마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했을 때 필요할 때 (한미 간) 전화하자고 이야기했고, 그 부분은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며 “대통령이 오면 조만간 (정상 간) 통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