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2017 민주노총 대선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자리에서 민주노총은 ‘재벌독식 불평등사회에서 노동이 존중받는 평등사회로’ ‘저임금·비정규노동사회에서 노동자가 살맛나는 평등사회로’라는 슬로건을 필두로 △체제 청산 △비정규직 철폐·좋은 일자리 △노조할 권리·노동3권 △사회공공성·사회안전망 △민주주의·평화사회 등을 담은 5대 의제 10대 요구사항을 공개, 투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총연맹과 가맹산하조직, 단위사업장을 총파업투쟁본부로 전환하고 29일 각 대선 투쟁 결의대회를 진행한다. 또 25일과 4월15일 촛불집회에도 참여한다.
민주노총은 대선 예비후보들에 대한 정책질의 및 간담회 등을 통해 노동 의제를 공론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번 주까지 대선 예비후보들에 대한 정책질의서를 완성하고 다음 주에 발송할 계획이다. 이영주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후보별로 노동자·민중이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갖고 있는지 철저히 분석할 것”이라며 “‘노동자들의 요구사항을 즉각적으로 실시할 의지를 갖고 있는 후보자가 누구인가’하는 검증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민주노총은 6월30일부터 7월8일까지 사회적 총파업 주간으로 설정, 최저임금 1만원, 비정규직 철폐, 저임금구조 타파 등을 포함한 5대 요구를 내걸고 총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 6월30일에는 각 지역별 총파업대회를 개최하고 7월1일부터 7일까지 각 부문별·의제별 요구로 총파업·파상파업·대규모 집회 등을 통해 대개혁 요구를 제기할 방침이다. 7월8일에는 총궐기 대회를 추진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새 정부와 직접교섭을 통해 노동의 권리가 살아 숨 쉬는 진짜 민주주의를 당당히 요구할 것”이라며 “‘최저임금 1만원, 비정규직 철폐, 재벌체제 해체’를 위한 사회적 총파업은 그 정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선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공공운수노조, 보건의료노조, 전국교직원노조, 서비스산업연맹, 건설산업연맹 등도 대선 정책 요구안 등을 발표하고 대선 투쟁에 들어갈 것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