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김병준 총리 철회, 여당 새누리당서도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1107010004581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6. 11. 07. 18:22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박 대통령 탈당·김 총리 지명철회" 기자회견...추미애 민주당 대표 "민심 반하는 폭주개각 철회"...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 "김 총리 지명철회·자진사퇴"...영수회담 사실상 불가능
김무성7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7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탈당과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 지명 철회를 공식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이병화 기자 photolbh@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지명 철회와 김 내정자 자진 사퇴 촉구가 7일 야당 뿐만 아니라 여당 내부에서도 공개적으로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김 총리 카드 관철을 위해 전방위로 야당 설득에 나섰지만 사실상 김 총리 카드를 접지 않는 이상은 정국 수습이 불가능해졌다.

더욱 심각한 상황은 야권 뿐만 아니라 여당 내부에서조차도 김 총리 내정을 철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의 비주류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은 당의 제1호 당원으로서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당을 살려야 한다는 책임의식을 갖고 당적을 버려야 한다”면서 전격 탈당을 공식 촉구했다.
김 전 대표는 김 총리 지명 철회와 함께 국회에 총리 추천 요청, 거국 중립 내각 구성 즉각 수용도 강력 촉구했다.

발언하는 추미애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에서 “민심에 반하는 폭주개각을 철회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왼쪽은 이해찬 민주당 외교안보통일 국정자문회의 의장, 오른쪽은 우상호 원내대표. / 연합뉴스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여야 영수회담을 열어 김 총리 거취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야당 설득에 적극 나섰지만 김 총리 지명 철회가 선결되지 않으면 여야 영수회담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여야 영수회담을 위해 국회를 찾았지만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거부로 만남 자체도 이뤄지지 않았다.

민주당은 김 총리 내정 철회가 되지 않으면 영수회담은 커녕 한 실장도 만나줄 수 없다며 면담 자체를 거부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민심에 반하는 폭주개각을 철회하고 국회에서 추천하는 총리를 수용해서 정국을 수습해 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끝까지 외면하면 불행히도 정권퇴진 운동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압박 수위를 최대한 끌어 올렸다.

박지원-한광옥13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왼쪽)가 7일 국회에서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과 면담하면서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에 대한 지명 철회와 박근혜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다. / 이병화 기자 photolbh@
야당인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이날 한 실장을 만나 김 총리 지명 철회와 박 대통령의 탈당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회담에 결코 응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김 총리 내정자 지명을 철회하거나 자진 사퇴가 이뤄지지 않는 한 영수회담 논의에 나아갈 수 없다”면서 “영수회담 자리에서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와 박 대통령이 같은 당적인데 영수회담이 가능하겠느냐. 대통령이 탈당한 뒤 영수회담에 나와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친노(친노무현계)인 안희정 충남지사도 이날 “김병준 총리 내정자는 살신성인의 마음으로 총리 수락을 철회하고 사퇴하시길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의 시간 지연책에 이용당하시기에는…”이라면서 “하루빨리 그 자리에서 내려와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거듭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김 총리 내정자는 이날 “여·야·청이 합의를 봐서 좋은 총리 후보를 내면 저의 존재는 없어지는 것”이라면서 “제가 걸림돌이 될 이유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현재 정국 상황에서는 여·야·청 합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에서 오히려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비판이 나왔다. 동시에 김 내정자가 박 대통령과 청와대에 더 이상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퇴로의 명분을 찾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하는 관측도 제기됐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