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형제 분쟁 일단락… 민심은 롯데 개혁 목소리 높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818010009626

글자크기

닫기

박성은 기자

승인 : 2015. 08. 18. 16:50

2015081601001513500081501
롯데그룹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압승으로 일단락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롯데의 부조리한 민낯에 대한 세인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등 13개 소비자단체는 18일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앞에서 ‘롯데의 사회적책임 촉구 및 롯데재벌개혁을 위한 5대 요구안’ 기자회견을 열고 주주총회 후 신동빈 롯데 회장이 발표한 롯데의 변화만으로는 롯데의 혁신이 이뤄질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신동빈 회장은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를 통해 호텔롯데 상장과 416개에 달하는 순환출자고리를 연내 80%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신 회장의 의지가 담긴만큼 롯데그룹도 발빠르게 행동에 나섰다. 그러나 소상공인연합회 및 시민단체들이 끊임없이 문제 제기한 노동시장과 유통시장에서 자행한 롯데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김동규 전국을 살리기 국민운동본부 조직국장은 “롯데가 연 매출 82조라는 재벌기업으로 성장하는 동안 한국의 수많은 ‘을’들의 희생과 협력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매출이 일본 롯데에 흘러들어갔다”면서 “온갖 불공정한 갑질, 노동착취, 중소상인 시장 파괴, 소비자 기만 및 우롱 등을 자행한 롯데가 지금이라도 바뀌어야 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실제로 롯데의 복합쇼핑몰과 아울렛 사업 진출 및 유치 경쟁으로 인해 전통시장 및 골목상인 피해가 급증하고 있지만 롯데는 별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대기업 아울렛 인근 동일업종의 중소상인 202명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 아울렛 출점 이후 평균 매출이 43% 떨어졌다. 음식업종의 경우 79%, 의류업종은 53%, 개인 서비스업은 42%나 감소했다. 재벌유통대기업 중에서도 롯데의 복합쇼핑몰 출점(예정)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 롯데마트, 롯데슈퍼의 과다출점으로 인해 골목슈퍼와 소매업, 최근엔 식자재 도매업도 피해가 커 사업 조정신청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상공인 보호에 필요한 적합업종 영업을 침탈하는 등 무분별한 사업 확장으로 지역 경제를 붕괴시켰다는 지적이다.

김동규 국장은 “롯데그룹과 관련된 중소상공인 피해 사례가 유난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2년 전인 2013년 가맹점·대리점주·납품·입점업체·입점상인 등 중소상공인들이 신동빈 회장에게 사죄와 재발방지책을 요구했으나 무응답으로 일관했다”고 말했다.

롯데그룹에 종사하는 서비스노동자의 근로여건도 열악한 실정이다. 최근 롯데는 롯데백화점에서 10년 넘게 일한 무기계약직 계산원을 용역직으로 바꾸는 등 롯데백화점 50개 점포 중 42개 점포 계산원을 용역업체로 전환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처럼 직접고용을 간접고용으로 바꾸는 행태는 수년전부터 이뤄졌으며, 롯데백화점·롯데마트·롯데슈퍼·롯데시네마 등 롯데그룹 계열사 전체가 간접고용을 늘리기에 급급했다.

이런 비난을 잠재우기라도 하듯 롯데그룹은 최근 정부시책에 발맞춰 2018년까지 2만4000여명 신규채용한다고 발표했다. 2020년에는 현재 대비 60% 이상 증가한 15만5000명을 직접 고용하고, 간접고용을 포함 총 59만 명을 고용한다는 계획이지만 실질적으로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개선이 배제된 만큼 정부에 잘보이기 위한 ‘보여주기식’ 발표라는 게 보편적인 시각이다.

이 밖에 영화 배급·상영에서의 불공정행위 근절 및 관람료·먹거리 등 답합의혹, 팝콘·생수 등 폭리 문제, 무단광고상영·계열사몰아주기 등 부당행위에 대한 문제 해결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박성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