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2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젯밤 세월호특별법 협상을 통해 많은 부분이 정리됐다”면서 “다만 유족이 추천키로 한 3명의 진상조사위원을 어떻게 추천할지와 조사위원장·사무처장 분배 방법은 전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전날 국회에서 심야 회동을 통해 특별검사 추천에 유족 참여, 세월호 진상조사특위원장, 위원 추천 방식 등을 놓고 합의를 시도했으나 의견이 엇갈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유족의 특검후보 추천에 대해 새누리당은 사법체계의 훼손 우려를 들어 반대하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여전히 철저한 조사를 위해 참여 보장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장을 포함해 17명으로 구성될 진상조사특위에서 위원장 선출 방식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은 대상을 한정하자는 입장인 반면, 새정치연합은 전체 위원 중 호선을 통해 임명하자고 맞서고 있다.
사전에 특위위원장 대상을 한정하지 않을 경우 편향적이거나 경험이 부족한 위원이 위원장으로 선출될 수 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이다.
여야가 특별법 쟁점 사항을 놓고 여전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으나 협상 과정을 통해 상호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은 이날 “유가족 참여문제를 포함해 여야 TF(태스크포스)가 궁합이 잘 맞고 우윤근 원내대표도 잘 하고 있다”며 “세월호특별법 협상이 상당히 진척돼서 (여야 합의를)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도 “세월호3법을 10월말까지 처리해야한다”며 “내일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 며칠 남지는 않았지만 박차를 가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과 여야 대표, 원내대표의 회동이 끝난 29일 오후 남은 쟁점에 대해 조율을 시도하고, 이달 말까지 정부조직법·유병언법(범죄수익은닉규제처벌법)까지 이른바 ‘세월호 3법’에 대한 일괄 타결을 시도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