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자(老子)는 성인(聖人)을 마치 물(水)과 같다고 했다. 물은 만물을 윤택하게 하면서도 그 높음을 다투지 않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땅에 있으려 하니 이미 도의 진실한 이치에 가깝다. 이는 자신이 있어야 할 지위에 안주하며 마음은 깊은 못처럼 고요하고 화목함으로 남과 함께 하며, 말은 믿음직스럽고 정치는 반드시 훌륭한 업적을 남기고, 일은 반드시 성과를 만들며 행동할 시기를 잡는데 능하다. 물은 다투지 않음으로 실수가 없다.
상선(上善)은 도덕적으로 가장 완벽한 사람, 즉 성인을 가리킨다. 옛말에 ‘사람은 높은 곳으로 가려하고,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려 한다’고 했다. 성인은 보통사람처럼 높은 곳으로 가려고 다투지 않는다. 오히려 물처럼 낮은 곳으로 흐르려한다. 그렇다고 스스로 비하함을 의미하진 않는다. 물은 스스로 비하하지 않는다. 다만 낮은 곳으로 흘러 광활한 바다의 경지를 이룰 뿐이다.
지구의 71%가 바다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이 해발 8000미터를 넘지만 세계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Mariana Trench)에 넣는다면 봉우리가 하나도 안보일 것이다.
사람도 자연과 비슷하다. 소인배는 날마다 높아지려 애쓰고, 큰 인물은 겸손하여 아래에 있고자 한다. 노자는 상선에 도달하는 일곱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①있기는 능히 땅에 있다(居善地). 자신이 마땅히 머물러야 할 곳에 있다는 뜻이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 손해 보는 곳, 서로 가지 않으려는 곳이 안전한 곳이다. 자신이 감당할 수 있을만한 곳이나 지위에 있는 게 안전하다. 형세에 순응하여 어느 위치에 있든 적응하고 그에 만족한다는 뜻이며 분수에 맞게 살아 무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②마음은 능히 못처럼 깊다(心善淵). 깊은 못처럼 신중하여 경박함이 없고, 말에 과장이 없는 것이다. 즉 입이 무거워 떠벌리지 않는 것이다. 공자는 ‘군자(君子)는 말하는 데는 둔하나 행하는 데는 민첩하다’고 했고, 간디는 ‘침묵은 진리를 받드는 사람의 정신훈련 중 하나’라고 했다. 깊은 못은 수심이 깊어 매우 맑고 불순물이 없다는 뜻이다. 가늠할 수 없는 깊은 지혜를 간직하면서도 영혼에 사심이나 잡념이 없다는 것이다. 임용돼도 우쭐하지 않고 면직돼도 아쉬움을 남기지 않았던 초(楚)나라 손숙오(孫叔敖)가 그 대표적 인물이다.
③더불어 하기는 능히 착하게 한다(與善仁). 좋은 사람과 사귀고 나쁜 사람을 멀리한다는 뜻이다. 이는 평안한 처세의 기본이다. 친구나 동업자를 선택할 때 신중해야 한다. 누구와 사귀더라도 악의 없이 선한 마음으로 대하여 소인배나 악인에게도 예의로 대하고 사랑을 베풀라는 뜻이다. 나쁜 사람은 독약처럼 사람을 해치지만 독약도 나름대로 존재의 합리성이 있다. 자장(子張)은 ‘현명한 사람은 존중하나 보통사람은 포용하고 능함을 기뻐하나 재능이 없음을 가엾게 여긴다’고 했다.
④말은 능히 믿음직스럽게 한다(言善信). 언변이 좋고 요점을 말하며 표현에 능하여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우수한 지도자들은 뛰어난 연설가였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말하는 태도가 진실하고 말의 내용에 속임수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말의 결과에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한번 뱉은 말은 반드시 실천해야 되는 것이다.
⑤정치는 능히 다스림으로 한다(政善治). 관리하는 일을 훌륭히 하고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라는 뜻이다. ⑥일은 능히 거뜬히 한다(事善能)는 것도 같은 의미다. 관리와 일처리가 능난하여 어떤 어려운 문제라도 순조롭게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다. 힘닿는 일은 잘하면 되지만 역부족일 때는 어찌 해야 할까. 소동파(蘇東坡)는 ‘태산을 끼고 북해를 넘는 일은 할 수 없는 것이지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어른에게 허리를 굽히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지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능력이 닿지 않는 일은 더 적임자나 더 전문가에게 넘겨야 한다.
⑦움직임에 능히 때를 맞춘다(動善時). 일을 하는 것이 시의적절해야 한다는 뜻이다. 열자(列子)에 보면 ‘무릇 때를 얻는 사람은 흥하고, 때를 잃는 사람은 망한다’고 쓰여 있다. 천하에 이치가 늘 옳음이 없고, 일이 늘 그름이 없다. 과거에 필요했지만 오늘은 그것을 버릴 수도 있고, 오늘은 버렸지만 훗날 그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소용이 되고 되지 않음에 반드시 옳거나 그름이 없다.
그래서 시의적절하게 일하면 번성하고 시의에 맞지 않으면 실패한다. 천하에 영원히 옳은 도리는 없다. 만약 한번 정한 후에 변하지 않는다면 공자처럼 박학하고 강태공처럼 책략에 능해도 빈궁한 결말에 이를 것이다. 그래서 총명한 사람은 일을 할 때 먼저 땅을 관찰하고 나서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선택하고, 먼저 백성의 상황을 살피고 나서 일의 목표를 결정하며, 모두의 의견을 종합하고 나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행동하기 전 현재의 조건·환경·민심을 충분히 파악한다면 ‘움직임에 능히 때를 맞춘다’는 말에 합당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