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2021년 13일로 가장 많은 황사 관측
|
12일 제주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제주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황사 발원지는 고비사막, 내몽골고원, 중국 북동지역으로 전체 황사발생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3월말까지 관측된 3건의 황사 역시 해당지역에서 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전국 황사 관측일수는 평균 14일이었으며, 2015년과 2021년에 각각 22일로 가장 많았다. 제주지역은 2021년 13일로 가장 많은 황사가 관측됐다.
황사가 주로 발생하는 기간은 3~5월이며, 10년간 제주지역 황사 관측일 총 64일 중 38일(56%)이 해당기간 중 관측됐다. 7~9월에는 한 차례도 관측되지 않았다. 황사 영향으로 주로 미세먼지(PM-10) 농도가 상승하는데, 최근 10년간 황사기간 중 미세먼지(PM-10) 일 평균농도가 가장 높았던 때는 20?21년 158㎍/㎥로 같은 해 평균농도인 32㎍/㎥에 비해 5배가량 높았다.
올해 관측된 황사기간(3일) 중 미세먼지(PM-10) 농도는 78㎍/㎥로 평균 농도인 41㎍/㎥에 비해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대기오염경보제가 실시된 2015년 이후 황사기간 중 미세먼지(PM-10) 주의보가 발령된 일수는 총 관측일 48일 중 33일(69%)이며, 올해 발생된 주의보(3일)는 모두 황사기간 중 발생했다.
주의보 발령 중 권역별 평균 최고농도를 나타난 해는 2021년 제주시 일평균(164㎍/㎥), 시간평균(1,337㎍/㎥)을 보였고, 올해 주의보 발령 중 권역별 시간 평균 최고농도는 2023년 제주시 일평균(91㎍/㎥), 시간평균(318㎍/㎥)으로 나타났다.
현근탁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몽골지역 사막화 등으로 황사가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도민건강 보호를 위해 대기질을 상시 모니터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고농도 대기오염 발생에 따른 대기오염경보가 발령되면 최대한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외출할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개인건강을 보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