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400조 STO 법제화 가시권… 대형-중소證, 선점 경쟁 ‘치열’

400조 STO 법제화 가시권… 대형-중소證, 선점 경쟁 ‘치열’

기사승인 2024. 09. 11. 18: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대신·유안타證 등 공동 플랫폼 구축
미래에셋證 등 대형사들 독자적 준비
"고객 수 많은 대형증권사 수익 클 것"
400조 토큰증권 시장을 두고 증권사들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토큰증권 발행(STO) 관련 법제화가 가시권 안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미래에셋증권처럼 많은 고객과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준비 중인 대형 증권사들과 컨소시엄을 형성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중소형사 간의 대결에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토큰증권 유통이 가능해지게 되면, 리테일 사업에 강한 대형 증권사들이 많은 수수료 수익을 챙길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토큰증권의 경우 일반 거래소 상장 주식과 달리 각 증권사와 협약을 맺은 상품에만 자사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를 통해 거래되기 때문에 중소형 증권사들에도 기회가 있다. 이에 대신·유안타·IBK투자증권 등은 코스콤을 통해 상호 협력 관계를 재빨리 구축하면서 경쟁에 대비했다.

발행 부문에서도 미술품·음원저작권 등 시장 내 수많은 조각투자 상품이 존재하고 있어, 발행 수요가 이를 뒷받침할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에선 비금융자산에 대한 투자가 가능해지면 향후 토큰증권 시장이 37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코스닥 전체 시가총액을 웃도는 수준이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토큰증권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다시 한번 커지면서 작년부터 관련 사업을 준비해 온 증권사들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의원(국민의힘)이 토큰증권 법제화를 위한 자본시장법 및 전자증권법 개정안을 이르면 이달 중 대표 발의할 것으로 알려진 데 기인한다.

토큰증권 도입 논의가 작년 초부터 시작된 만큼 증권사들은 조각투자사들과 협약을 맺고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등의 준비를 해왔다. 특히 고객·자본 등 인프라를 갖춘 대형 증권사들의 경우 스스로 사업을 진행하거나, 일부 대형사들끼리 뭉치는 양상을 보였다.

예컨대 미래에셋증권은 자체적으로 토큰증권 실무 협의체인 'ST워킹그룹'을 꾸린 데 이어 SK텔레콤·하나금융그룹 등과 함께 넥스트 파이낸스 이니셔티브(NFI)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독자적으로 플랫폼 구축에 나선 것이다. 그에 반해 키움·대신·유안타·IBK·BNK투자증권 등 비교적 규모가 작은 증권사들은 코스콤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동 플랫폼 구축 사업에 나섰다.

증권업계에선 토큰증권 시장 선점을 두고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의 경쟁에 집중하고 있다. 대형 증권사들이 조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만큼 유리한 건 사실이지만, 중소형사들 역시 공동 플랫폼 사업을 통해 회사 간의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어 경쟁력이 높을 것이란 평가다.

토큰증권 사업을 맡고 있는 한 관계자는 "각 증권사와 협약을 맺은 상품들만 자사 MTS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고객 수가 많은 대형 증권사가 유통 부문에서의 수수료 수익을 더 많이 챙길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중소형 증권사들도 상호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만만치 않은 경쟁력을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발행 주관을 얻어내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미술품·부동산·음원저작권 등 시장 내 다양한 조각투자 상품이 존재하고 있어, 발행 수요가 이를 뒷받침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비금융자산이 증권화되면서 토큰증권 시장은 2030년 367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는 코스닥 시가총액인 349조원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코스콤 고위 관계자는 "토큰증권 거래 자체가 다자간 상대매매(가격과 수량이 일치해야 체결되는 구조) 시스템인 것과 동시에 각 사 고객끼리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많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며 "그런 점에서 증권사들이 발행 사업에서도 수익 성장성을 높이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증권사들이 주관 수수료를 어떻게 책정하고, 증권 발행 과정에서 얼마만큼의 지원을 약속하느냐에 따라 발행사들도 주관사를 선정할 것"이라며 "향후 증권사들 입장에선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