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애기뿔소똥구리’ 아산시 광덕산에서 발견

기사승인 2024. 06. 27. 15:4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
순천향대 정헌천 교수팀 수컷 1개체 발견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수컷
순천향대 정헌천 연구교수가 아산시 강덕산에서 발견한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수컷 모습.
전남 함평습지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가 지난 5월 발견된데 이어, 충남 아산시 광덕산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애기뿔소똥구리가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27일 순천향대에 따르면 산학협력단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 융복합연구소가 최근 아산 광덕산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Ⅱ급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를 처음으로 발견했다.

연구소 소속 정헌천 교수는 육상곤충상에 관한 생태조사 중 광덕산 강당골 인근에서 애기뿔소똥구리 수컷 1개체를 발견했다.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애기뿔소똥구리는 딱정벌레목 소똥구리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 일본과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몸길이는 13~19㎜, 체색은 광택이 강한 흑색이며, 외부 형태는 공처럼 부푼 형태를 띤다.

이번에 발견된 수컷 개체는 이마에 상아 모양의 뿔이 있는 전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성충은 4~10월에 관찰되고 한여름 이전에 주로 활동하며, 소똥이나 말똥 아래에 굴을 파고 그 안으로 똥을 옮겨 먹거나 알을 낳기 위해 둥근 모양의 경단을 만들기도 한다.

특히, 소의 배설물을 먹이로 하는 애기뿔소똥구리는 방목장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서식지를 잃어 개체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어 이번 발견은 의미가 큰것으로 전해졌다.

이용석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융복합연구소장은 "현재 멸종위기종 및 국외반출금지종으로 지정된 애기뿔소똥구리는 채집 및 보관이 금지된 종이며, 광덕산에서 유입경로와 서식 여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지만, 연구소에서 향후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순천향대 한국자생동물자원활용 융복합연구소는 2021년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2030년까지 연간 7억 7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자생동물 자원의 유전체 빅데이터 확보 △자생동물 자원 활용을 위한 Web-DB 구축 △자생동물 자원 대량배양 기반 구축 등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적 수준의 대학 중점 연구소로 거듭나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