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역직구 국가 빅5 중 4곳은 중화권…유아용품 최다 구매

역직구 국가 빅5 중 4곳은 중화권…유아용품 최다 구매

기사승인 2024. 06. 23. 12: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중화권 국가, 전체 매출의 82%
유아용매트, 개별 상품군 중 매출 1위
[이미지1] G마켓 글로벌샵 국가별 매출 비중_240623
해외에서 국내 이커머스를 통해 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역직구가 가장 활발한 국가는 홍콩이었다.

23일 G마켓이 운영하는 역직구몰 '글로벌샵'의 1~5월 국가별 매출 비중 분석 결과 홍콩은 51%로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대만(25%), 미국(9%), 싱가포르(4%), 마카오(3%) 순이었다.

역직구 수출국가 빅5 가운데 4곳이 중화권 국가로 전체 매출의 82%에 달했다. 알리, 테무 등 C-커머스의 국내시장 침투가 거센 가운데 중화권에서는 오히려 K-제품이 인기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태국, 영국, 폴란드 등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G마켓 글로벌샵을 이용했다.

[이미지2] G마켓 글로벌샵 품목별 매출 비중_240623
가장 많이 찾은 품목은 '유아용품'으로 전체 매출의 35%를 차지했다. 해당 품목에서 유아용매트는 개별 상품군 중 매출 1위 품목에 꼽혔다. 유아용 안전용품, 유아용 간식(음료) 등도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렸다.

뷰티 제품군도 18%로 매출 비중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미샤, 에뛰드 등 로드샵 브랜드들이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K-뷰티 선봉에 있다. 이어 패션(13%), K-POP(13%), 건강·의료(8%) 제품군 등이 그 뒤를 이었다.

G마켓은 국내 이커머스 중 유일한 역직구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2006년 영문샵을 업계 최초 오픈하고 2013년 중문샵을 열었다. 올해 2월 몽골 최대 이커머스 '쇼피'(Shoppy)와 제휴를 맺고 약 30만개 제품을 몽골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일본의 큐텐(Qoo10)과 라쿠텐(Rakuten), 일부 유럽권 인기 플랫폼 줌(JOOM)과 협업으로 G마켓 인기 제품을 현지에 선보이고 있다.

정소미 G마켓 글로벌샵 팀장은 "해외 고객이 다양한 국내 제품을 접하면서 진정한 K-트렌드를 엿보고 구매까지 할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