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아토피피부염보다 더 삶의 질 떨어뜨리는 이 질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005010001957

글자크기

닫기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승인 : 2023. 10. 05. 15:05

중증도 높아 삶의 질 저하 심각 '만성두드러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치료 접근성 개선 촉구
KakaoTalk_20231005_150231262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세계 두드러기의 날(World Urticaria Day)을 맞아 5일 국내 만성두드러기 현황과 임상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짚어보고 치료 환경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간담회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했다. 지영구 학회 이사장(단국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은 "중증 만성두드러기의 중증 질환 분류를 통해 환자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중증도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장기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시영 기자
아토피피부염이나 건선보다 삶의 질을 더욱 떨어뜨리는 '만성두드러기'에 대한 환자의 치료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에 따르면 가려움을 동반한 팽진과 혈관부종이 특징인 만성두드러기는 두드러기가 6주 이상 거의 매일, 평균 3~5년간 지속되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약 150만명의 환자가 만성두드러기로 고통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유병율은 3% 내외로, 유럽 및 북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다양한 병인 기전이 관여하는 만성두드러기는 난치성인 경우가 많고 평균적으로 3~5년간, 길게는 10년 이상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예영민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만성두드러기는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질환, 불안, 우울 등 정신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면서 "악화와 호전을 오랫동안 반복하기 때문에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말했다.

학회 측에 따르면 만성두드러기 환자의 삶의 질은 중등도 이상의 건선 및 아토피피부염 환자, 혈액투석 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 당뇨 환자만큼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예 교수는 "특히 수면장애가 심한 경우가 많고 전반적인 업무 수행에 느끼는 어려움도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 학회가 중증도가 높은 만성두드러기 환자의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와 비슷한 0.7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증 건선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에서는 중증 만성두드러기 환자의 △불안 △우울 △수면장애 지수는 중증 건선 환자보다 모두 높았다. 아울러 갑상선 질환 등 자가면역질환 발생 위험이 정상인 보다 1.9배 높아지는 등 다양한 질환을 동반할 가능성도 커진다.

만성두드러기는 중증도에 따른 치료제 투여가 필수적인 치료법이다. 장윤석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 내과 교수(총무이사)는 "고용량 항히스타민제로도 충분한 임상적 효과를 보지 못해 사이클로스포린 등 면역억제제 사용이 필요한 환자에게 생물학적제제를 효과적인 치료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면서 "하지만 급여가 되지 않아 중증도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2년 발표된 국내 리얼 월드 연구에 따르면 6개월 이상 항히스타민제 치료로 조절이 되지 않는 중등도 및 중증 두드러기 환자 중 55.8%가 항히스타민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적인 부담 등을 이유로 효과가 떨어지는 치료제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 국내 치료 환경은 항히스타민제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두드러기 환자를 대상으로 생물학적제제 급여가 적용되고 있는 영국·호주·중국 등 다른 나라와 대조적이라는게 장 교수의 설명이다.

중증 만성두드러기에 대한 별도의 질병 코드 신설이 필요하다는 것이 학회 측 입장이다. 장 교수는 "현재 만성두드러기의 경우 중증도를 가리지 않고 모두 하나의 질병코드로 분류되고 있지만 중증 건선이나 중증 아토피 피부염처럼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인 만큼 별도의 질병코드를 신설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중증 질환으로 분류되어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해주는 제도를 통해 적절한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영구 학회 이사장(단국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은 "만성두드러기는 정책적인 아젠다에서 소외돼 있어 환자들이 신체적·정신적·경제적 고통을 오롯이 감내해야 한다"며 "중증 만성두드러기의 중증 질환 분류를 통해 환자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중증도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장기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