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는 31일 열린 '제2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블루카본은 해양생물 등 해양생태계의 탄소흡수원으로, 갈대·칠면초 등 염생식물과 갯벌, 잘피 등을 포함한다. 현재 블루카본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정책은 육상 탄소흡수원에 비해 초기 단계이지만, 국제사회는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블루카본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이번 전략을 수립했다.
먼저 해수부는 해양의 탄소흡수력과 기후재해 대응능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염생식물 식재를 통해 식생 면적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220%) 넓히고 2050년까지 전체 갯벌 면적(2482㎢)의 약 27%에 염생식물을 조성한다. 또 해초·해조류로 구성된 바다숲 면적을 2030년까지 85% 확대한다.
폐염전·폐양식장, 방치된 간척지 등에 해수를 유통해 갯벌로 복원하고, 전체 갯벌의 절반 이상(1318㎢)을 보호구역으로 지정·보호해 탄소흡수원 가치를 유지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건설된 방파제 등 연안의 인공구조물을 자연 상태로 전환하는 '숨쉬는 해안 뉴딜'을 통해 기후재해 대응도 강화한다.
아울러 민간·지역·국제협력 등 블루카본 조성 참여를 확대한다. 국제협력, 연안조성, 국내홍보 등 분야별 사업을 발굴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연계한 신규 투자를 이끌어내고 연구·민간·정책 자문위원회도 운영한다.
'해양생태계서비스지불제'를 도입해 양식 기술을 보유한 어업인이 탄소흡수를 위한 해조류 조성에 참여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해양 탄소흡수원 외부사업 체계 및 지원·관리방안 마련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의 진입장벽을 완화한다.
이 밖에 국제 세미나·회의 개최 등을 통해 블루카본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하고 서해를 중심으로 동해, 남해에 각각 실증연구센터 지소를 마련한는 등 해역별 연구거점 인프라을 조성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해양의 탄소흡수기능 강화를 목표로 한 첫 추진전략인 만큼 해당 과제들을 성실히 이행해 해양수산 탄소중립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고, 기후위기에도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