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응 못할시 대내외적으로 악순환 반복
정준영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지난달 테라USD(UST) 디페깅 사태는 스테이블코인의 양적 성장에 비해 수요처가 한정적이거나 대량의 자금이 급격히 이탈할 때 알고리즘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할 경우 내외부 충격이 악순환 고리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상자산 투자사 멀티코인 캐피탈(Multicoin Capital)이 정의한 ‘스테이블 코인 트릴레마’ 개념을 소개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세 가지 목표인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 탈중앙성은 서로 상충해 동시에 달성될 수 없다는 개념이다. 각 스테이블코인은 이 중 어떤 요소를 중시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UST가 자본 효율성에 특히 장점이 있었던 데 반해 이번 테라 사태를 계기로 가격 안정성에 대한 가치가 부각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
다음 요인은 ‘자산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자산의 담보 비율과 건전성은 어떠한지’이다. 같은 종류의 자산이라면 발행 규모 대비 담보 비율이 높을수록 자본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담보 자산의 유동성 및 환금성이 낮거나 장부상 가치에 비해 실제 회수 가치가 손상될 여지가 있다면 건전성에 의문이 생길 수 있다고 바라봤다.
세 번째는 ‘스테이블코인이 충분한 활용도를 갖고 있고 특정 용도에의 집중이 과도하지 않은지’이다.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지급, 예치 등 많은 곳에서 활용될 수 있다면 급격하게 인출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분석이다. 다만 앵커프로토콜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특정 용도에의 집중도가 높을 경우 그 용도에의 수요 변동이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첨언했다.
마지막 판단 요인은 ‘안정적인 이력(track record)을 가지고 있는지’이다. 오랜 시간 안정성을 잘 유지해왔다는 이력은 수요자의 신뢰를 높이고 시장 변동 상황에 수요를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 변동성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결론적으로 모든 스테이블코인의 관건은 각각의 페깅 유지 메커니즘이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봤다. 아울러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은 자연히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지속적인 발전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