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업이 본격 추진될 경우 세계적인 순수 민간자본 투자유치 사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실제로 충남도 관계자는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울산광역시와 울산 공단을 찾아 관계자와 산업현장 관계자는 물론 재이용 시설에 대해 벤치마킹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서산시는 지난 3일 방류수 재이용으로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업체 관계자 및 전문가를 초빙 사업 설명을 듣는 등 적극적인 행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서산시 입주기업의 공업용수 부족난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당국이 앞장서는 모습이다.
대죽·대산지역은 2012년과 2017년 가뭄으로 인한 대호지 저수율 감소로 용수공급 난을 경험한 이후 추가수원 확보를 위해 해수 담수화 등 다각적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산업시설 증설과 팽창속도 대비 공업용수 확보양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특히 충남도·서산시는 공단에서 바다로 방류되는 폐수를 모아 재이용해 공업용수로 공급,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용수를 공급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행정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 공직자들이 직접 울산 공단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현장을 방문하고, 이를 유치한 울산시 관계자를 만나, 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대산·대죽공단에 접목시킬 수 있는 길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 관계자는 “담당 공무원들이 직접 울산공단에서 성곡적으로 운영 중인 현장을 방문하고, 이를 유치한 울산시 관계자를 만나는 등 벤치마킹한 것으로 안다”며 그 결과를 토대로 대산·대죽공단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은 서산시 관련 업체 등과 함께 찾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산공단 입주업체 관계자는 “대죽·대산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이 폐수 방류수 재이용 사업을 본격화할 경우 그간 환경오염 원인물질 배출자로 낙인찍혀 지역주민들로부터 불신을 받으며 왜곡됐던 기업 이미지도 상당부분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이 사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산·대죽공단 방류수 재이용 사업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비케이이엔지가 추진하고자 하는 대산산업단지의 사업 규모는 현재 해양방류되고 있는 1일 약 8만 톤의 방류수를 원수로 재 사용함으로서 1일 5만 2000톤의 수자원 확보가 가능할 전망이다.
또 이런 과정에서 발생되는 1일 2만 8000톤의 농축수를 자체 처리 후 해양 방류하여 해양오염 부하량을 획기적으로 감소(1년 1600톤)시키는 환경적 효과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