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제어 등 한글화한 시스템 개발
글로벌사보다 저렴하게 농가에 보급
2027년까지 '스마트팝 다부처개발'
온실·축사 등 기자재 국산화 집중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경쟁
지난달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팜 시장은 2015년 1조6251억원에서 2020년 2조2745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매년 연평균 6.7% 성장률이다.
스마트팜 관련 시장도 매년 성장세다. 이와 관련 국내 스마트농업 전체 시장은 2015년 3조6051억원에서 연평균 14.5% 성장해 2020년 5조4048억원 규모가 예상되고 있다.
식물공장 관련 시장도 2015년 1800억원에서 2020년 3576억원으로 전망되고 있다. 매년 연평균 53.3%씩 증가한 셈이다.
스마트팜 관련 기술은 매년 향상하며 선도 그룹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농식품부 조사에서 한국의 스마트팜 분야 기술수준은 최고기술보유국 네덜란드와 비교해 76.2%로 추격그룹에 속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술수준 최고그룹은 네덜란드이고,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의 기술수준은 80% 이상 100% 미만으로 선도그룹”이라며 “호주, 한국, 중국은 추격그룹”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최고기술보유국 네덜란드와 비교해 기술격차는 4.0년이지만 중국에 비해서는 0.8년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선도그룹을 따라잡기 위해 아낌없이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스마트팜 연구에 647억원을 지원했고, 2020년에는 184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2019년 172억원에 비해 12억원 증가한 규모이다.
농식품부는 기술개발에 참여한 기업이 제품화하거나 사업화해 농가에 보급하는데 측면 지원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R&D를 통해 저비용 국산 시스템 개발·보급, 외산 기자재 수입 대체, 생산시스템 개선 등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센서 및 제어시스템을 한글화한 복합환경제어시스템을 개발해 프리바사 제품 대비 3분의 1 가격으로 150여 농가에 보급했다.
양액재배(수경재배) 딸기의 근권관리 시스템, 생장환경 모니터링 센서 및 범용 제어장치, 박과 재배용 스마트팜 통합관리시스템 등 시설원예 기자재 산업화와 수입에 의존해 온 모돈급이기, 사료효율 측정장치, 자율주행형 TMR 급이로봇 및 사료빈관리기 국산화 등 축산 기자재 국산화에도 나서고 있다.
국내 기술을 활용한 소, 돼지 등 가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축산농가에서 현장에 적용해 사용 중이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확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구현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총 3867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농식품부와 농진청에서 주관하고 과기정통부도 참여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온실·축사 등 ‘스마트팜’을 한정, 2세대 스마트팜의 현장 실증·고도화 및 3세대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