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손병두 “IMF 세계경제전망치 추가 하향, 팬데믹 제어까지 갈 길 멀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630010018580

글자크기

닫기

김지수 기자

승인 : 2020. 06. 30. 10:30

"은행권 자금공급 유지하며 코로나 장기화에 대비해야"
금융위_200630_금융리스크대응반 회의_PR_002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3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경제 전망치를 한 번 더 하향해 발표한 것은 팬데믹 제어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경고의 메시지”라며 “긴장감을 가지고 향후 상황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손 부위원장 주재로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과 기업안정화방안 등의 준비·집행상황을 점검하고,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 추진상황, 중소·중견기업 자금지원 상황 및 애로사항 등을 집중 논의했다.

소상공인 2차 지원 프로그램은 지난 29일부터 전국 지방은행(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에서도 신청이 가능해졌다. 회사채담보부증권(P-CBO)의 경우 6월 중 총 1조원 규모의 발행을 실시했다.

손 부위원장은 기간산업안정기금에 대해서는 “유사시 시장안정판으로서 버팀목 역할이 주목적”이라며 “기존 프로그램으로도 지원이 가능하다면 기금의 대응여력을 남겨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운영기간이 한시적으로 9월까지인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프로그램과 일부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들의 연장여부, 정상화방안 등을 금융회사들과 함께 고민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미 연준과 IMF는 경기 회복지연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들의 자본확충을 위한 자사주 매입금지 및 배당금 제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 19 관련 적극적으로 지원한 경우가 정책대응이 없었던 경우보다 금융회사의 자본여력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손 부위원장은 이를 언급하며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참고하여 자금공급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코로나 사태 장기화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6·17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과 관련해 후속조치를 조속히 이행해 시중 유동성이 주택 투기수요 확대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금융회사 일선 창구에서 규제 변경사항에 대하여 국민들이 충실히 안내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금융회사 경영진 차원에서 일선 직원들의 규정 숙지, 원활한 안내 등에 각별히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정부는 실물경제 지원의 시급성과 중장기적인 시계에서의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 금융시스템 안정성 제고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찾아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지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