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확대·세계경제 불황 위험
마크롱 "유럽의 대미 투자 중단"
독일 경제장관 "전세계와 협력, 미국 압박"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대응 조처"
|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7일 오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260억유로(42조원) 어치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최고 50%의 보복 관세를 제시하고, 27개 회원국은 이를 승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
무역전쟁 확대·세계 경제 불황 위험
EU 회원국은 9일 표결을 실시하는데, 집행위 안은 27개국 가운데 최소 15개국의 찬성하고, 이 15개국 이상의 인구가 EU 전체의 최소 65% 이상에 해당할 경우 확정된다. 집행위 안이 확정되면 EU는 오는 15일 미국산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는 다음달 15일 시행한다.
EU의 조치는 이미 각각 34%·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중국·캐나다에 이은 것으로 글로벌 무역전쟁이 조기에 확대돼 수십억 명의 소비자에 대한 상품 가격이 인상되고, 전 세계 경제가 불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로이터는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및 그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거의 모든 EU산 수입품에 대해 20%의 상호 관세를 오는 9일부터 부과한다. 그 대상은 지난해 총 5320억유로(856조원)에 달하는 EU의 대미 수출의 약 70%에 해당하며 구리·의약품·반도체·목제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상된다.
EU와 미국의 무역전쟁을 촉발할 방아쇠로 주목받는 품목은 미국산 버번위스키다. EU 집행위는 50%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데, 트럼프 대통령은 와인을 비롯한 모든 EU산 주류에 2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룩셈부르크는 이날 27개국 무역 담당 장관들이 참석하는 정치 회의를 개최해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데, 협상이 실패할 경우 단합된 메시지를 낼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이번 회의의 주요 목표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
친트럼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보복 관세, 최선 아냐"...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대응 조처"
대응책을 놓고 EU 내 목소리는 다양하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EU가 관세를 훨씬 뛰어넘는 패키지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상황이 명확해질 때까지 유럽 기업의 미국에 대한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의 로베르트 하베크 경제기후보호장관도 "우리는 강력한 입장"이라며 "우리(EU)는 많은 국가, 전 세계 많은 지역과 힘을 합쳐 미국을 압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전체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아일랜드는 '사려있고 신중한' 대응을 촉구한 반면, EU 내 세번째 대미 수출국인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가 잘못된 것이지만, "가장 좋은 방법이 다른 관세라고 확신하지 않는다"며 보복 관세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7~8일 관세의 영향을 평가하고, 다음 조치를 결정하기 위해 철강·자동차·제약 분야의 최고경영자(CEO)들과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6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해 "세계 경제의 새로운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파트너국과 협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다"고 집행위는 전했다.
그녀는 또 대미 협상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면서도 적절한 대응 조처를 할 것이라는 EU 입장도 재확인했다고 집행위는 밝혔다.
영국은 5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한 10%의 기본 관세 대상국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25%의 관세 부과 대상인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및 그 부품은 EU와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