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부는 물론 모발의 멜라닌 세포의 기능 또한 손상되어 눈썹과 머리카락이 하얗게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눈의 홍채와 망막 색소 이상까지 동반할 수 있다.
인구의 약 0.5~2.0%에서 나타나는 백반증은 우리 나라에는 전 인구의 1%정도인 4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자의 약 30%에서 가족력을 발견할 수 있다.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병은 아니지만 얼굴 등 노출 부위에 있을 경우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대인 관계 및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며 완치가 어려운 백반증은 주로 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성장이 왕성한 시기인 20세 전후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
백반증의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 스트레스, 자외선에 의한 화상 등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반증은 동전 크기로 한 부위에만 있는 ‘국소형’과 얼굴 몸 사타구니 팔 다리 등에 넓게 분포하는‘전신형’ 좌우 한 측에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분절형’으로 나뉜다. 피부에 흰 반점들이 나타나서 진행되면서 융합되어 백색반을 형성하고, 번지며, 경계가 둥글게 나타난다. 백반증 환자는 대체로 신체적으로 건강하나 외관상의 문제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동반한다.
제일 쉬운 방법으로 ‘우드 등’ 검사를 실시한다. 주위를 어둡게 한 후 하얗게 된 피부 위에 이 등을 비추는데 백반증일 경우 하얗게 반짝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백반증은 마른 버짐과 흰 점, 어루레기와 같은 질환과 그 증상이 비슷해 육안 검사를 통한 감별이 쉽지 않아 자칫 오진을 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사실. 환부를 쌀알크기만큼 채취하여 현미경 검사를 하는 방법인 조직검사는 살점을 떼어 검사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후천적으로 색소가 소실되는 백반증은 상당 부분의 병변에서 색소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 이로 인하여 경험이 부족한 의료진에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백반증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멜라닌 세포가 부족하여 일광 화상을 입기 쉽고 증상도 악화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이 강해지는 여름철에는 병변의 노출 또한 잦아져 이 부위에 대한 자외선 차단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는 탈색 반이 번지는 것을 예방하고 이미 생긴 탈색 반에는 색소 침착을 유도하는 데 있다. 백반증은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 중 하나로 백반증 초기에는 살아 남은 색소 세포가 병변에 존재하여 이를 통해 백반증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백반증의 치료는 크기와 모양,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처방을 하게 되는데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을 먹거나 바르게 하는 ‘약물요법’과 특수 약물을 바른 뒤 백반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색소 발생을 촉진하는 ‘자외선(광선) 요법’, 백반 부위의 색상을 살색으로 염색하는 ‘영구화장요법’과 자신의 피부를 이식하는 ‘표피이식술 ’등이 있다.
백반증 치료로 널리 알려진 ‘울트라 엑시머 레이저’는 광학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의 어느 부위든 치료할 수 있으면서도, 병변이 있는 부위만을 선택적으로도 치료 할 수 있다는 점, 그리도 스테로이드 연고의 사용이 제한되는 얼굴 부위와 임산부, 어린이 환자의 경우에도 제한이 없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최광호 초이스피부과 원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