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발주 예산 최근 5년 간 증가세…4년 전보다 약 2배↑
주택 공급 우려 확산 중인 수도권에 집중 편성
민간참여사업·미분양 매입 등 별도 사업 병행
|
30일 LH에 따르면 회사는 상반기까지 11조원이 넘는 공사·용역 발주를 조기 집행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책정된 발주 예산(19조1000억원)의 59% 수준이다. 이후 3분기와 4분기에도 각각 6조3000억원, 1조5000억원의 발주 계획을 채울 계획이다.
이번 대규모 발주는 건설원가 상승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경색으로 일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를 지원하려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LH는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통해 업계 유동성 위기 해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H의 발주 예산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실제로 △2021년 9조7000억원 △2022년 9조9000억원 △2023년 7조2000억원 △2024년 17조8000억원에서 올해는 19조1000억원까지 확대되며,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유형별 발주 금액은 △공사 17조8000억원(787건) △용역 1조3000억원(663건)으로 구분된다. 건축공사·아파트 부대공사 등 주택 관련 사업에만 전체의 65%에 달하는 12조6000억원을 편성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6만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착공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하고 있는 수도권에 전체 발주액의 69%인 13조2000억원을 집중한다. 이 중 수도권 3기 신도시에는 지구별로 △남양주왕숙1·2 9969억원 △인천계양 7905억원 △하남교산 4505억원 등 총 3조5000억원(18%)을 투입할 방침이다.
LH는 정부의 조기 투자 기조에 발맞춰 '선(先) 집행, 후(後) 조정' 전략을 펼친다. 이를 통해 건설사의 자금 경색 해소와 업계 전반의 활력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업계 관심이 높은 주요 아파트 공사 발주 일정은 월별·분기별로 면밀히 관리하고, 하반기 주요 일정도 수시로 재공지해 지속적인 입찰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한 별도 사업도 병행 추진 중이다. 민간이 참여하는 공공주택사업 활성화를 위해 '패키지형 공모사업'을 도입, 민간 건설사가 토지비의 10% 수준 계약금만 납부하면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했다. 잔여 토지대금은 토지사용 시점에 담보를 제공하고, 이후 분양 수익으로 분할 납부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고분양가로 청약 심리가 위축된 상황을 고려해 수도권 공공택지 내 미분양 주택에 대한 매입도 적극 추진한다. 작년 기준 43개 블록, 2만5000가구에 대한 매입이 확약된 상태다.
LH 관계자는 "올해 대규모 발주와 민간참여형 사업 확대, 미분양 주택 매입 등 종합적 조치를 통해 침체된 건설 경기에 숨통을 틔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계획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예산 집행을 최대한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