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보훈부, ‘국립연천현충원’ 내일 착공…2027년 준공 목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3010014069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04. 23. 16:52

대통령, 순국선열, 애국지사, 전상군경, 공상군경 등 안장
산림 훼손 최소화 등 친환경적 조성
2. 국립연천현충원 조감도(현충문(먼쪽)과 홍보관(가까운 건물), 봉안당(오른쪽) 위치한 광장)
국립연천현충원 조감도(현충문(먼쪽)과 홍보관(가까운 건물), 봉안당(오른쪽) 위치한 광장. /보훈부 제공
서울과 대전에 이어 3번째 국립현충원인 국립연천현충원이 오는 24일 첫 삽을 뜬다.

국가보훈부는 이날 오후 3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일대에서 국립연천현충원 착공식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국립연천현충원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 95만 7000여㎡(약 29만 평) 부지에 총사업비 1298억 원을 투입했다. △봉안당(2만 5000기) △봉안담(2만 기) △자연장(5000기) 등 총 5만기 규모로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이번 현충원 조성사업은 나무 벌목 등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논·밭을 중심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등 환경친화적으로 추진된다.

현충원 조성이 완료되면 수도권 거주 국가유공자 등의 원활한 안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34만여 명이며 안장 여력은 11만 기로, 23만여 기의 봉안시설이 부족해 추가적인 묘역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보훈부는 국립연천현충원(5만기)과 국립횡성·장흥 호국원 3만 3000기(횡성 2만, 장흥 1만 3000) 신규 조성을 비롯해, 올해 국립영천·임실·이천호국원의 봉안시설 확충사업을 통해서도 10만여기를 확보하는 등 안장 수요에 지속적으로 대비할 계획이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의 마지막을 국가 차원에서 예우를 다해 모시기 위한 국립연천현충원을 착공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보훈부는 국립연천현충원이 국가유공자분들을 품격있게 예우하는 '안장·추모 공간'은 물론, 국민이 일상에서 즐겨 찾는 '보훈문화 공간', 그리고 미래세대들이 호국영령의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는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조성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현충원 안장 대상자는 대통령을 비롯한 순국선열, 애국지사, 전상군경, 공상군경 등이다.

1. 국립연천현충원 조감도
국립연천현충원 조감도. /보훈부 제공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