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랩톱·컴퓨터 부품·메모리칩
트럼프, 90일 유예 대상서 제외 중국 겨냥
애플 최대 수혜...삼성 등 미국 외 공장 기업 혜택
|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 저녁(현지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랩톱 컴퓨터·하드디스크 드라이브·컴퓨터 프로세서 및 모니터·메모리칩·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며 이를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 5일까지 소급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상호 관세 125%와 이미 발표한 추가 관세 20% 등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하는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지역에 대해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는 상호 관세 부과가 애플의 아이폰 등에 대한 즉각적인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를 완화하는 것으로 많은 가전제품에 부과된 최신 관세가 효과적으로 사라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평가했다.
|
이번 조치는 애플·삼성전자·델·휴렛팩커드(HP)·마이크로소프트(MS)·엔비디아·TSMC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WSJ·블룸버그통신 등이 전망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이번 조치가 트럼프 행정부 무역정책의 혼란스러운 성격을 부각하는 것으로 높은 인건비 및 기타 요인으로 많은 산업의 미국 내 생산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한다고 WSJ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명백한 이유로 몇 가지 예외가 있을 수 있지만, 10%가 하한선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이날 조치를 암시한 바 있다.
다만 펜타닐 대응 등 때문에 중국에 이미 부과한 20%의 추가 관세를 그대로 유지된다고 뉴욕타임스(NYT) 등이 전망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반도체·칩·스마트폰·랩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제조하는 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기업들은 가능한 한 빨리 미국으로 제조 시설을 이전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철강·의약품·반도체 등을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을 이용해 철강 및 자동차에 각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WSJ은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되면 이번 조치 적용 대상인 많은 기술 제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