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자산 재편 등 적극적 대응
美 관세로 기업대출 건전성 우려
|
다만 트럼프발 상호관세 정책은 변수다. 관세부과에 따른 수출 기업 타격으로 대출 부실 가능성이 커지면서, RWA 관리의 핵심인 기업대출 리밸런싱과 수익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대출 연체율 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 적립 등 일회성 비용 발생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금융당국이 상호관세 부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지원을 4대 금융그룹에 요구한 것도 재무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의 작년 말 CET1 비율은 12.13%로 9월 말 11.95%보다 0.18%포인트 개선됐다. 적극적인 자산관리 리밸런싱과 견고한 실적 성장이 CET1 비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단 평가다.
그럼에도 다른 금융그룹에 비하면 CET1 비율이 낮다. 작년 말 기준 KB금융 13.53%, 신한금융 13.06%, 하나금융 13.22%로 우리금융만 유일하게 13%를 넘지 못했다. CET1 비율이 주주환원 규모와 연관되기에, 우리금융의 CET1 개선은 중요하다.
우리금융은 CET1 개선의 핵심 요인 중 하나인 RWA 관리를 위해 우량·성장기업 중심의 대출 자산 재편을 지속하고 있다.
핵심 자회사 우리은행의 3월 말 기업대출 잔액은 153조7295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0.24% 감소했다. 5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줄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3.01%, 개인사업자 대출은 5.7% 감소한 반면, 대기업 대출은 4.14% 늘었다. 안전성이 우수한 대기업 대출은 늘리고, 연체율 등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큰 중소기업·개인사업자 대출을 줄인 것이다.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이자·비은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그룹 계열사의 IB 부문을 여의도로 집결시켰다. 금융 중심지로 알려진 서울 여의도는 국내외 주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사모펀드(PE) 등이 밀집해 있다. 우리금융은 여의도 '금융네트워크'를 적극 확용, 인수금융·대체투자·구조화금융 등에서 계열사 간 시너지를 낸다는 방침이다.
작년 7월 출범한 우리투자증권은 금융당국으로부터 투자매매 인가를 받았고,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출시를 통해 리테일 진출 등 본격적 영업에 나서고 있다. 비은행 강화를 위한 보험 포트폴리오 확보도 금융당국 승인을 앞두고 있다. 경영실태 평가등급 3등급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조건부 승인 가능성도 유력한 상황이다.
문제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악재다. 관련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우리금융의 대출자산 리밸런싱, 수익성 개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호관세로 수출 기업이 실적과 재무가 나빠지고, 이것이 기업대출 건전성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1월 기업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 대비 0.11%포인트 오르는 등 상호관세 발표 전부터 부실 위험이 커졌다. 연체율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충당금 적립으로 이어질 경우,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
상호관세와 관련된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부담도 존재한다. 금융당국은 4대 금융그룹을 모아 상호관세 타격이 예상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지원을 요청했다. KB금융(8조원), 신한금융(10조원), 하나금융(6조원)이 금융지원 계획을 발표한 만큼, 위험성이 큰 기업대출이 늘어날 수 있다.
우리금융은 "상호관세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산업군별·기업별로 핀셋형 맞춤 지원"을 강조하면서 10조2000억원의 금융지원을 확정했다. 4대 금융그룹 중 가장 많은 규모다.
실제 증권업계에선 우리금융의 올해 CET1 비율을 12.3%로 전망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PF 충당금 완화에 따라 올해 대손비용 감소가 예상됐으나, (기업대출)연체율이 심상치 않다는 점에서 대손비용 책정을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