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올해 '테스트베드' 서울 1차 공모(일반과제)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21일까지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2018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시작된 테스트베드 서울은 중소·벤처·창업기업이 겪는 대표 불편 사항인 실증기회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으로, 서울형 R&D 중 기술개발(R&D) 이후 필요한 후속 기술개발(Post-R&D)의 하나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7년간 서울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총 206개 과제를 선정해 총 683억원의 실증비용을 지원했다.
시는 그간의 성과를 고도화하고, AI 기반 기술에 대한 집중 육성뿐 아니라 기업들의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전체 실증과제 40개 중 AI 및 AI 융합 과제를 절반 이상으로 확대한다. 지난 7년간 지원한 206개 과정 중 53개(25.7%)가 AI 관련 과제였으나, 올해는 20개(50%) 이상을 AI 기반 기술로 선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기업을 적극 육성한다.
기업이 글로벌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실증대상을 해외까지 확대한다. 해외 지사가 있는 공인시험인증기관을 해외 실증 협력기관으로 선정해 해당 기관의 해외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한다.
인센티브 제도도 도입한다. 실증매칭 및 과제 성공 시 시장 표창 등 보상을 제공해 혁신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지원한다.
테스트베드 서울 1차 공모를 희망하는 기업은 서울경제진흥원 서울R&D지원센터 누리집에서 하면 된다.
지원 대상은 AI, 로봇, IoT 등 혁신기술을 보유한 서울 소재 중소기업이다. 올해 주요 수요과제는 △반지하 주택 밀집지역 침수 수위 측정기술 △인공지능 무인 자율주행 청소차 기술 △전기차 배터리 이상진단 및 알림체계 구축 기술 등 60여개다. 수요 과제 외에도 기업이 자유롭게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최종 선정된 기업에는 최대 1년간 실증 가능한 장소와 과제당 최대 2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기업에는 서울시장 명의 실증확인서를 발급하며, 이후 조달청 혁신제품 등록을 위한 컨설팅을 비롯해 국내·외 박람회 참가 지원, 투자유치 등 연계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주용태 경제실장은 "AI·로봇 등 서울의 미래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