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김동연 등과 경쟁 전망
완전국민 경선 추진엔 말 아껴
|
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오는 8일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차기 대선 날짜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6월 3일로 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이 대표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이 대표는 대선일이 확정된 후 대표직에서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4·10 총선을 거치면서 당내는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로 가득 찬 상황이다. 이 대표가 자신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딸)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만큼 당내 경선에서 이 대표의 경쟁상대가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도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가 나와 일부 해소한 상황이다. 다만 여전한 비호감 이미지와 '반이재명' 정서도 강한 만큼 중도 확장성에 의문이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와 당내 대선 경선 경쟁을 할 비명계 인사들로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 전 의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김 전 의원은 7일 민주당 당사에서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다. 김 전 총리는 출마 의지를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총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곧 있을 대선의 의미는 막중하다"며 "계엄을 저지르고 탄핵을 반대한 세력의 집권은 민주주의 퇴행"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손에 땀을 쥐는 경선이 국민의 관심과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민주당 경선이 형식적인 절차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비명계 박용진 전 의원은 이날 불출마를 선언했다. 박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선 후보가 아닌 평당원으로서 국민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한 제 역할을 찾아 헌신하겠다"며 "당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서 역할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대선 경선 규칙도 핵심 쟁점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그동안 '권리당원 50%·일반 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안과 일정기간 선거인단을 신청하는 모든 일반국민들에게 선거인단 자격을 부여하는 완전국민경선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대표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은 완전국민경선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딸을 비롯한 권리당원들의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는 이 대표를 이기기 위해선 완전 국민경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대표가 완전국민경선을 수긍할지는 미지수다. 민주당 내에서도 완전국민 경선과 관련해 반대 의견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아직 민주당의 경선규칙은 정해지지 않았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기자 간담회에서 "내란을 종식 시키는데 당력을 총집중했다"며 "지도부나 당 차원에서 대선 경선과 관련된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이재명 대표가 사임하면 직무 대행체제가 만들어지고 직무대행 체제에서 대선 준비과정을 진행하게 된다"며 "당이 정한 당헌·당규에 따라 경선 일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