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청은 디지털 감사 정착을 위해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 감사 △감사 이력 관리 자동화 △AI 일상감사 2.0을 3대 중점 추진 분야로 정했다.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 감사'는 기존 복무 위반과 부당 수당 지급 등 개별 사안 중심의 사이버 감사 방식에서 벗어나 피감사자의 특정 행위를 시나리오로 상정해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감사하는 기법이다.
'감사 이력 관리 자동화'는 교육청이 운영 중인 지능형 종합감사시스템에 이력을 등록하면 기관 홈페이지와 감사원 공공감사시스템으로 자동 연계되는 것으로 이력 관리 방법이 크게 개선돼 감사 담당 공무원의 업무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교육청은 기대하고 있다.
'AI 일상감사 2.0'은 경북교육청 제1호 특허인 AI 일상감사의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학습데이터 제공과 결재 과정 일원화로 이용자 편의성과 AI 일상감사 지능을 동시에 높인다는 구상이다.
교육청은 이 체제 정착을 위해 △기획과 검증 △시나리오 설계 △데이터 분석 지원 등의 3개 분과별 내부 전문가를 선발해 전담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기획 분과가 디지털 감사 방향을 정하면 현장 경험이 반영된 시나리오 설계를 기반으로 DB 전문가가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해 시나리오 적용 여부를 검증하게 된다.
임종식 교육감은 "디지털 감사 체제 전환으로 데이터 증거 기반의 과학적 감사가 이뤄져 감사의 신뢰성과 예방 효과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