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보전 해체해 수리하는 건 40여년 만
|
24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국가유산수리기술위원회는 지난해 열린 회의에서 무위사 극락보전의 해체·보수 안건을 심의해 조건부 가결했다.
현재 남아있는 무위사 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무위사 극락보전은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사찰 건물이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대인 1430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유산으로 평가받지만, 오랜 세월로 인해 보수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펴낸 '2021년 중점관리대상 모니터링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극락보전은 구조 안전 점검에서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E등급'을 받기도 했다. 당시 연구진은 지붕부의 하중 불균형으로 인한 손상을 우려하며 주요 부재와 벽체 균열 등을 지속해서 모니터링(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이에 따라 국가유산청은 2022년부터 극락보전 건물 전체를 해체해 보수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연구하는 한편, 단계별 해체 방안 등 구체적인 방법을 검토해왔다. 무위사 극락보전을 해체해 수리하는 건 40여년 만이다.
극락보전 보수 공사에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관련 계약은 모두 마무리됐으나 아직 공사에 착수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해체·보수를 끝내려면 최소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무위사는 조선시대 수륙대재를 봉행했던 곳으로도 잘 알려졌다. 무위사 수륙대재는 1430년 세종대왕의 명으로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의 업적을 기리고 이와 동시에 불보살님의 원력으로 국태민안을 기원하고 건국에 희생된 충신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시행됐다. 조선 초기부터 국행수륙재로 설행되어 600여 년을 이어온 무위사 수륙대재는 일제강점기에 중단되었다가 현 주지 법오스님(조계종 기획실장)이 복원해 7년째 10월 첫째 주 토요일에 봉행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