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 등 5대 프로젝트 추진
오세훈 "AI·서울시의 경쟁력 위해 대학 역할 중요"
|
서울시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열고 2025년 서울시 라이즈 5개년(2025~2029)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심의·의결했다. 서울라이즈위원회는 위촉직인 11명의 대학총장 중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을 임기 3년의 공동위원장(위촉직)으로 선출했다. 위원회는 오세훈 시장과 원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민간 전문가 등을 포함한 총 23인으로 구성된다.
시는 올해 765억원 등 향후 5년간 총 4225억원을 투입해 '서울형 라이즈'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서울 전략산업 기반 강화 △지역사회 동반성장 △평생·직업교육 강화 △대학창업 육성까지 5대 프로젝트, 12개 과제를 추진한다.
글로벌 대학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글로벌 산학합력 선도 대학 10개교와 본 글로벌 기업 40개를 육성한다. 또 인공지능(AI) 등 첨단 미래산업에서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석사급 해외 우수인재 500명(2029년까지) 유치,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 교육도 추진한다. 양재, 홍릉 등 AI·BIO(바이오) 클러스터와 연계해 산업생태계 확장도 시도한다.
오 시장은 "최근 '딥시크'로부터 비롯된 AI이슈로 '우리는 언제 AI대열에 동참할 수 있나'가 전국민적 관심"이라며 "AI 경쟁력을 올리는데 대학의 역할이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서울시는 도시경쟁력 5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라이즈가 어떻게 방향을 잡고 추진하느냐에 서울시의 목표, 대한민국의 미래가 결정된다"고 위원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한편, 시는 이날 심의한 결과를 토대로 오는 3월 초 사업공고 개시, 서울 소재 대학 대상 설명회 개최, 사업선정 심의·평가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