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영위기·폐업·전직 등’ 소상공인 힘보탬 나선 서울, 250억원 투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3010011852

글자크기

닫기

김소영 기자

승인 : 2025. 02. 23. 15:21

창업준비, 경영안정화, 폐업~전직 등 맞춤형 지원
지원규모 대폭 확대 및 실질적 대책 적극 반영
오세훈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서울 마포구 서울신용보증재단 본점 자영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서울시 소상공인 힘보탬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정재훈 기자
서울시가 소상공인의 창업준비, 창업 후 경영안정화와 불가피한 폐업시 정리지원 등을 지원해주는 생애주기별 종합 패키지를 이어간다.

시는 소상공인에게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을 본격 가동한다고 23일 밝혔다.

창업기, 성장기, 재도전기 단계별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시가 매년 계획 수립 후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가 실질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는 4개 핵심분야에 대한 8개 사업에 총 250억 원을 투입한다.

지원 분야는 △소상공인 교육 및 창업컨설팅(창업) △자영업클리닉·중장년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지원(경영안정화) △위기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적 지원(위기극복) △폐업지원, 전직·재취업(재도전)이다.

창업지원 분야에서는 업종별·유형별 세분화된 특화 창업교육을 지난해보다 2000명 늘어난 규모인 1만명에게 제공한다. 예비창업자와 창업 3년 이내 소상공인에 대한 컨설팅도 늘려 안정적인 시장 안착을 돕는다.

경영안정화 분야에서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안정적 경영과 실질적 매출 증대를 돕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끝장컨설팅 지원분야를 기존 20개에서 37개로 확대해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매출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목표다. 중장년 소상공인의 호응이 높은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도 지속한다.

신용보증재단 보증 이용고객의 금융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설계한 경영위기 알람모형을 활용해 매출액 감소, 대출 급증 등 위기 시그널을 폭착하는 경우에도 선제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경영위기 알람 모형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매출액 감소나 재난 피해 등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이 폭넓게 사업에 참여하도록 직접 지원을 요청하는 공개모집 방식을 신설했다.

마지막으로 재기 의지가 높은 소상공인의 새길을 적극적으로 열어주는 '새 길 여는 폐업지원'과 '다시서기 프로젝트'의 지원 대상도 대폭 늘렸다. 또 올해부터는 임차료·점포 원상 복구비 등 실비와 물품 보관비, 재판매를 위해 소요되는 시리·세척비 등을 최대 300만원 지원한다.

송호재 민생노동국장은 "만성화된 경기침체와 정국 불안정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많은 소상공인들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해 서울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