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 강화·교육발전특구 본격 추진 등 미래 세대 투자도 지속
|
시는 3일 기획조정실 신년 브리핑을 통해 '창의와 도전으로 전주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비전으로 한 4대 분야 14개 전략과제를 제시했다. 전주의 혁신적 도약을 위한 4대 분야는 △100만 광역도시 도약을 위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 △청년이 정착하는 젊은 도시로 변화 △누구나 존중받는 시민 중심 도시 구현 △AI 기반 디지털 행정도시 구축 등이다.
먼저 시는 빠른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매주 1회 특별민생경제 대책회의와 상반기 신속집행 목표액을 대상 예산의 54%인 7729억 원으로 설정하고 지방계약 한시적 집행 특례 활용 등 목표 달성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또 시는 미래를 위한 준비에 완주·전주 상생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완주군민 대표단과 완주·전주 상생발전 방안을 논의하게 될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협의위원회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시는 금년도 세입목표액을 5377억으로 설정하고 체계적이고 정확한 세원관리와 고액납세자 사전컨설팅 등 맞춤형 체납 징수를 통한 자주재원 확보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동시에 시는 청사 별관 확충과 행정동 통합 등 시민들의 행정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청사 별관 확충의 경우 올해 현대해상 빌딩에 대한 소유권 이전과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 리모델링을 거쳐 내년 1월 청사 이전을 추진한다. 여기에 효자4동 복합커뮤니티센터와 평화1동 복합커뮤니티센터도 각각 오는 2026년과 2027년도 준공을 목표로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미취업 청년들이 구직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청년어학시험 응시료 지원 △취업준비 청년 교통비 지원 △청년면접정장 무료대여 지원 △청년활력수당 등을 추진하고, △청년 지역정착 지원 △청년 함께 두배 적금 △군복무 청년 상해보험 가입 지원 등을 통해 지역청년의 자산형성 지원과 사회안전망 구축에도 만전을 기한다.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전주기업반 취업지원 △출향청년 채용 전주기업 취업지원 △청년취업 2000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위한 사업들도 추진된다.
나아가 시는 올 하반기에는 (가칭)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하고, 청년정책을 대폭 강화해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지난해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총 3년 동안 국비 70억 원이 지원되는 교육발전특구에 대해서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으뜸 늘봄교육 △균형 잡힌 교육환경, 으뜸교실 △K-문화로 세계화 선도, 으뜸인재 △국제화 교육의 중심, 으뜸전주 등 지역인재 양성과 정주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선다.
이강준 전주시 기획조정실장은 "2025년은 전주의 미래 청사진을 가시화되는 원년으로 모든 공무원이 전주의 기적을 만들어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나아가 전주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청년을 비롯한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