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남도 “3·1운동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 노하우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2010000199

글자크기

닫기

창원 허균 기자

승인 : 2025. 02. 02. 10:55

지난 2년간 3·1운동 거증자료 수집·분석에 집중
경남은 3·1운동 시위횟수·참여자 두번째로 많아
경남도청
경남도청./ 경남도
경남도가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에 소매를 걷어 부쳤다.

경남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중 3·1운동 횟수와 참여 인원이 경기도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영예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도가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과 서훈신청 확대를 위한 맞춤형 전략에 나서는 이유다.

도가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을 자신하는 근거는 지난 2년 간의 노하우다.

실제 독립운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증자료 부족 등으로 서훈을 받지 못한 분들을 위해 지난 2023년부터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과 서훈 신청 업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제85주년 순국선열의 날 계기 독립유공자 포상 시 전국 33명 중에 도가 직접 서훈 신청한 6명이 독립유공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맞춤형 전략은 독립운동 분야 중에서도 기미년 3·1운동을 중점으로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과 거증자료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다.

3·1운동 관련 공적으로 포상받은 경남 출신 독립유공자는 731명으로 경남 전체 독립유공자 1458명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새롭게 경남의 독립유공자로 이름 올린 15명 중 8명도 3·1운동을 주동하거나 참여한 공적으로 추서된 분들이었다. 경남 지역은 3·1운동이 가장 치열했던 만큼 아직 발굴되지 못한 3·1운동 관련 독립운동가들이 많을 것으로 추정돼 앞으로 더 많은 서훈 신청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또 기발굴 미서훈자를 대상으로 보훈부 공적심사 기준에 부합하는 객관적인 입증자료 수집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현재 보훈부는 공적심사 대상자의 독립운동 여부를 확인하는 객관적인 입증자료로 일제강점기 재판 및 수형기록(학생의 경우 퇴학 기록) 등을 인정하며, 신문기사나 해방 이후 작성된 역사서, 향토지, 증언록 등은 참고자료로 인정하고 있어 서훈 신청 대상자 선정과 포상률 제고를 위해서는 미서훈자의 재판 및 수형기록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다. 도는 지난 2022년 경남도 독립운동사 조사연구 용역에서 발굴된 미서훈 독립운동가 1762명에 대해 분석했다.

김영선 도 복지여성국장은 "나라와 민족이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자신과 가족을 희생한 분들이 독립운동가로 인정받는 것은 개인의 영광을 넘어서 330만 경남도민 모두의 자긍심을 고취하면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의미가 있다"라며 "올해 많은 미서훈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서훈 신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허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