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통시장 사과 물가 궁금해” 서울시, 자연어 기반 공공데이터 개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30010013992

글자크기

닫기

김소영 기자

승인 : 2025. 01. 30. 13:44

지난해 11월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1월 본격 서비스 시작
AI 챗봇 서비스·데이터 검색 및 탐색·시각화 콘텐츠 제공
3차원시각화
'전통시장 사과 물가가 궁금해'라고 검색 시 서울데이터허브에서 볼 수 있는 3차원 시각화 자료. /서울시
'전통시장 사과 물가가 궁금해' '여의도에 있는 한강공원 주차장 알려줘' '송파구와 강남구 2024년 평균 전세가격 비교해줘' '5월에 열리는 서울시 문화 행사 정보에 대해 알려줘'

앞으로 서울데이터허브를 통해 한번의 검색으로 이같은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자연어 기반 대시민 공공데이터 서비스 '서울데이터허브' 서비스를 공식 오픈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데이터허브는 '열린데이터광장'을 운영하며 축적한 데이터 서비스 노하우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한단계 업그레이드했다.

서울데이터 허브의 장점은 데이터 활용법을 모르는 초보자부터 데이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민이 데이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생성형 AI의 대표적 한계인 '환각 현상'을 없애기 위해 최첨단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검색 증강 생성) 기반 AI 챗봇을 도입했다. 예컨데, 일상적 언어로 질문을 하면 AI챗봇 답변을 통해 경제 동향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대화형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연결된 데이터 설명서, 주제분석 시각화, 인구관 시각화, 상세검색, 데이터맵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강옥현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데이터허브가 서울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데이터를 활용해 삶과 일의 질을 개선하고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얻어 혁신적 아이디어도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