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서울시설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어린이대공원에 710만7000명이 방문했다.
대공원 관람객 수는 2018년 619만명, 2019년 639만명을 기록했으나 코로나19 발생 후 2020년 539만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이후 2021년 627만명, 2022년 659만명, 2023년 684만명 등 꾸준히 증가했다.
월별 방문객 수를 보면 벚꽃이 만개하는 4월에 98만명으로 가장 많은 시민이 대공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5월 83만명, 10월 79만명 순이다.
공단은 최근 3년간 대공원 내 팔각당 리모델링과 인조 잔디 축구장을 전면 재정비하고 후문 문화의 거리와 어르신을 위한 시니어 놀이터를 조성하는 등 대대적인 인프라 재정비 사업을 추진했다.
산책로와 출입구 정비, 노후 시설 개선, CCTV 설치 등 이용 시민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강화했다. 또 계절별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야간 행사를 추가하는 등 시민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아울러 어린이 중심의 체험 프로그램을 전 연령층으로 확대하고 대형 공연장을 활용한 문화행사도 활발하게 유치해 왔다.
한편 공단은 설 연휴를 맞아 전통 놀이 체험과 떡국 나누기 행사를 진행한다. 설날 당일인 29일 오전 10시부터 대공원 내 열린무대 앞 광장에서 대형 윷놀이, 투호놀이, 제기차기, 굴렁쇠 굴리기, 딱지치기 등 전통 놀이 체험행사를 진행한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상상나라 앞 광장에서 어르신과 외국인 근로자 등 500명에게 점심 식사용 떡국을 무료로 제공한다.
한국영 공단 이사장은 "서울어린이대공원을 시민의 삶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문화·휴식 명소로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대공원 관람객 710만명 돌파라는 값진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