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발전 원하면 의사 정확해야"
통일부 "대북제재 결의 준수해야"
|
김정은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20일 벨라루스와 북한간 정상회담 관련 보도를 나열하며 관련 사실을 부인했다.
김여정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낸 입장문에서 벨라루스 대통령이 북한을 비롯한 여러 아시아 나라들이 최고위급 상봉을 조직할 것을 제아했다는 타스 통신 보도를 봤다며 "최소한 내가 알고 있기엔 그런 일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와 관련해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향후 양국(북한-벨라루스) 관계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벨라루스와 북한은 양자 관계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엄중히 강조한다"고 말했다.
김여정이 공식 매체를 통해 발언한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김여정은 남북접경지역에 남쪽에서 날라온 전단지가 떨어졌다며 비난 담화를 내놓은 바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총장은 "지난 러·북 정상회담에서 푸틴의 권유로 벨라루스와 북한간 협력 강화 문제가 대두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북한-벨라루스간 고위급 교류를 통해 안보 협력 등의 문제가 논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무성이 아닌 김여정 담화를 통한 발신은 김정은의 외교활동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며 간절히 원하는 것은 북한이 아니라 벨라루스라는 김정은의 의중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함"이라며 "북한으로서는 대러관계에서 충분한 안보적 이득을 얻고 있기 때문에 벨라루스와의 협력은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대미협상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의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는 벨라루스와의 연계를 사전에 차단하며 상황 관리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김여정은 "벨라루스 측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최고위급 접촉을 적어도 두해 전부터 간절히 희망하고 있다는 데 대해 잘 알고 있다"며 "관계 발전을 희망한다면 자기의 의사를 정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솔직성은 국가간 쌍무관계에서의 출발점"이라며 "우리는 벨라루스 측이 이러한 입장으로부터 출발하여 우리와의 친선적이고 협조적인 관계발전을 지향한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고 기꺼이 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벨라루스는 대표적인 친러 국가로 지난해 7월 북한과 외교장관회담을 연 바 있다.
김여정은 남측의 비상계엄에 따른 탄핵 정국에 대해서도 구체 언급을 자제해왔다. 또 곧 출범하는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서도 지나친 자극을 하지 않으며 협상 문턱을 낮추고 있는 중이다. 이런 국면에서 김여정이 거의 두 달간의 침묵을 깨고 대외정책에 대해 언급한 것은 북한의 대외정책과 관련한 주요 창구가 본인이라는 점을 과시함과 동시에 조만간 대미협상에서도 전면에 나서겠다는 의지로도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