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은 올해와 비슷한 강보합세를 유지하지만,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며 양극화 현상도 심화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내년 부동산 시장 전망을 제시했다.
이날 발표에서 김성한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상당히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지난 9월 이후 은행의 대출 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에 나타났던 가격 수준을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주택 가격은 1% 오를 것으로 예측되며 강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지방은 2.0% 집값이 내리며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셋값의 경우 전세 사기 등으로 나타나던 아파트 쏠림 현상이 다소 완화되고 있어 내년 상승폭은 1.0%로 올해(1.5%) 보다는 줄어들 전망이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이 진행 중이긴 하지만,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 상품 금리 인하 영향으로 전환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건산연은 진단했다.
이와 함께 전세 사기로 가격 하방 압력이 높았던 연립·다세대 등 비(非)아파트 임대가격은 하락세가 다소 진정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사업자의 매입임대 정책이 안정판 역할을 할 것이란 점에서다.
한편, 건산연은 내년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210조4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 수주는 2022년 248조4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지난해에는 16.8% 감소한 206조7000억원으로 줄어든 바 있다. 올해도 0.4% 감소한 205조8000억원으로 예측되는 등 매년 수주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다만 내년 사회기반시설(SOC) 예산은 감소에도, 추가 금리 인하와 정부의 주택정비사업·3기 신도시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건설수주는 회복될 전망이다.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2.1% 줄어든 295조3000억원으로 건산연은 예상했다. 2022∼2023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영향이 오는 2025년까지 건설투자 부진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지혜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수주는 추가적인 금리 하락과 정부의 주택공급 노력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회복하겠으나 건설 투자는 선행지수인 수주 및 착공 감소의 영향이 2025년까지 이어지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